정부, `기술금융`이어 `재기금융` 카드 꺼낸다

금융당국과 보증기금이 창조경제 엔진으로 실패기업 재도전을 돕는 ‘재기금융’ 활성화에 나선다. 조만간 금융위원회가 부실기업과 재기 가능한 기업의 옥석을 가려 ‘재기보증’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벼랑 끝에 몰린 기업 회생을 돕는 지원방안이 기대된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가 실패한 기업의 재기를 돕는 ‘재기금융’ 확대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신보, 기보 등 보증기금도 올해 기업 재기지원 보증을 대폭 확대하고, 1%라도 회생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내놓는다.

신용보증기금(이사장 서근우)는 약 1000명 이상 인력을 재배치하고 유례없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조직개편의 골자는 전국에 25개 ‘재기 지원단’ 신설이다.

올해 약 600억원 자금을 투입해 불량 기업으로 낙인찍힌 곳 중 다시 회생할 수 있는 기업을 발굴한다.

서근우 신보 이사장은 “사업에 실패한 기업이 왜 망했는지부터 알아야 한다”며 “신보는 재기지원 업무를 전문적으로 하기 위해 지점 형태로 전환했고 보증업무와 채권, 재기지원 영역을 명확히 분담하는 형태로 조직 체계를 바꿨다”고 말했다.

앞으로 재기지원단은 전국에 산재한 1%의 회생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발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상권 청구 기업도 포함된다.

기술보증기금도 신용회복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채무감면 기업 대상을 확대하고 재기지원 보증 기업을 지난해 90개에서 올해 135개로 목표치를 대폭 상향했다.

다중채무가 있는 사업자는 신복위와 협의를 거쳐 채무감면 혜택과 비율을 확대할 방침이다. 재기기업인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과 사후관리체계를 강화하는 다양한 활성화 방안도 구상 중이다. 특히 올해 재기기업인 연수강좌와 전문컨설팅 연계, 기술이전 유도 등을 통해 실패로 낙인찍힌 기업에 희망의 불씨를 다시 심겠다는 각오다.

일각에서는 자칫 기업의 재기를 돕는다는 목표가 부실기업의 자금 회전문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기업 재기지원 방안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 ‘좀비기업’ 양산을 막을 수 있는 심사 인프라가 먼저 갖춰져야 한다.

한 보증기금 관계자는 “기술금융과 마찬가지로 기업의 재기지원 정책은 부실기업과 회생기업의 가능성, 기술력 보유 여부, CEO의 성향 등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심사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좀비기업이 혼재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