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산업 육성을 위한 여정은 이제 첫발을 뗀 셈이다. 클라우드산업 발전법이 통과됐지만 산재한 규제, 글로벌 기업과 경쟁, 기술과 인력 확보 등 많은 도전 과제에 직면했다. 정보통신 미래모임 패널토의에서는 우리 클라우드 산업 발전과 클라우드 발전법이 뒷받침해야 할 구체적 지원방안에 대해 열띤 논의를 벌였다.
클라우드는 기존 정보기술(IT)을 대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산업이 성장하려면 이런 변화를 제대로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최백준 틸론 대표가 클라우드를 ‘공공재’ 성격을 가진 인프라라고 강조하는 이유다. 최 대표는 “클라우드는 전기와 수도처럼 인프라 요소가 강하다”며 “정부가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및 확산에 공을 들여야 제대로 된 활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안정적 지원과 정책 일관성을 위해 독립된 추진체계도 갖춰야한다는 것이 최 대표 생각이다.
보안 이슈는 클라우드 확산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다. 자신의 정보와 IT 자산을 다른 사업자가 관리하는 데 많은 우려가 있다. 그러나 해결책은 있다. 데이터 보안 등급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박춘식 서울여대 교수는 “공공에서도 민감한 정보와 덜 민감한 정보를 구분해 관리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향후 IT 자원 보안 정책을 수립할 때도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9월 시행되는 클라우드 발전법은 분명 산업 발전을 위한 진흥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많은 법·제도가 그렇듯 취지와 다르게 적용되는 때가 있다. 김학훈 날리지큐브 대표는 클라우드 발전법 오남용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클라우드 발전법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진흥법”이라며 “정부 지원이 도를 넘어 민간 시장을 흩뜨리는 사례는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질의응답 시간에도 클라우드 산업발전에 도움이 될 만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신재식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단장은 “클라우드 산업 접근이 너무 공급자 위주로 맞춰져 있다”며 “우선 기업·기관 등 클라우드를 도입하려는 수요자 시각에서 발전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사용자가 클라우드를 도입할 때 우려하는 점이 무엇인지, 어떤 클라우드 환경을 원하는지 심층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과 협력도 논의됐다. 지금까지 글로벌 기업은 국내 시장에서 위협 요소로 인식됐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후발주자인 만큼 앞선 기술과 서비스를 활용할 필요도 있다.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와 틸론이 후원한 4월 정보통신 미래모임은 ‘클라우드 발전법에 따른 주요 현안’을 주제로 열린 만큼 국내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도 참석해 의견을 공유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