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시장과 신수요 창출에 주안점을 두고 안전산업을 새틀에서 짠다. 기존 산업을 확대하는 차원을 넘어 새로운 융합 산업을 발굴한다는 구상이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안전산업 업무 담당을 기존 산업정책실 산업정책관(국)에서 산업기반실 창의산업정책관으로 이관했다. 과 단위로는 기후변화산업환경과에서 창의산업정책과로 옮겼다.
산업부는 지난달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범정부 안전산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후 이달 내부 업무 관장을 조정했다. 산업 전반을 다루는 산업정책관이 안전산업 첫 그림을 그렸다면 앞으로는 분야별로 구체화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산업부가 특정 산업 담당조직이 아닌 부내에서 창조경제를 총괄하는 창의산업정책관에 안전산업 활성화 업무를 맡긴 것은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겠다는 뜻이다. 안전산업은 기계·로봇·부품 등 하드웨어(HW)에서 제어·관리·운용 소프트웨어(SW)와 정보기술(IT)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걸쳐있다. 단일 영역과 품목 중심으로 접근하면 기존 안전산업을 답습하거나 스스로 범위를 제한할 우려가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안전산업을 창조산업화한다는 차원에서 업무 조정이 이뤄졌다”며 “새로운 산업 시각에서 바라보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새 조직 체계로 안전산업 활성화 방안을 구체화하는 후속 작업에 착수했다. 관계부처로부터 분야별 이행계획을 제출받아 이달 말이나 다음달 사이 부처간 협의를 진행한다. 국민안전처와 공동 단장을 맡고 있는 ‘안전산업육성지원단’에서 논의한다. 지난 15일자로 ‘한국첨단안전산업협회’ 법인 설립을 허가, 민간 협력채널도 마련했다.
산업부는 안전산업 실태조사와 각 계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신수요·신산업 창출 차원의 안전산업 활성화를 본격 추진한다. 사실상 ‘안전관리산업’에 그쳤던 기존 안전산업을 선제적으로 시장을 이끄는 창조형 산업으로 바꾸는 것이 목적이다.
황수성 산업부 창의산업정책과장은 “새로운 산업을 만든다는 구상 아래 안전산업 활성화를 꾀할 것”이라며 “특정 분야에 얽매이지 않고 활발한 융합으로 창조산업화하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