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K-R&D 클라우드

[ET단상]K-R&D 클라우드

우리 주변에서 ‘구름’ 같았던 ‘클라우드’란 용어가 일상생활에서 낯설지 않게 들리고 있다.

그만큼 ICT 산업을 넘어 타 산업을 비롯한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미로 판단된다.

클라우드는 HW 및 SW 등 각종 ICT 자원을 소유하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해 빌려 쓰는 서비스다. 그러나 이 클라우드는 국내 산업 활성화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국가 경쟁력 순위에서도 ICT 강국인 우리나라는 24개국 중 8위다. 1위인 일본과 격차도 크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고 관련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지난 3월 국회 의결을 거쳐 ‘클라우드 발전법’이 제정됐다.

‘클라우드 발전법’ 핵심에는 정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은 정보화 사업예산 편성 시 클라우드 도입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와 별개로 이미 국가 차원에서는 각 부처 정보시스템 구축과 운영을 G클라우드로 전환 중이다.

통신사업자를 중심으로 민간 부문에서도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도입과 함께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발전법 이행이 탄력을 받기 위해서는 이를 선도하는 정책이 공공 부문에서 뒷받침돼야 한다. 지난 8년간 국가 R&D 예산 82조원 중 시설·장비 투자가 약 7조원이다. 5만8000여건이나 되는 연구 장비를 구매했다. R&D 과제에 투입됐던 연구 장비가 과제종료 뒤 현재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 여부는 미지수다.

국가 재원인 연구장비가 수명이 다할 때까지 제 기능을 다하고 있지 않다는 뜻이다.

따지고 보면 사실 이들 중 많은 연구장비가 클라우드로 제공할 수 있는 HW나 SW다.

이에 국가 R&D 과제 수행을 위한 연구장비 활용에 클라우드 도입을 제안한다.

국가 R&D 과제 종료에 따른 유휴장비를 우선 활용하고, 신규 연구장비 구매예산을 전환해 국가 차원에서 R&D클라우드(가칭 K-R&D 클라우드)를 구축해 활용하면 여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총비용 절감효과다. 국가 R&D과제 추진에 요구되는 HW 및 SW 구매를 K-R&D 클라우드로 전환하면 구매비용은 물론이고 운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영국도 정부 클라우드 구축전략 추진으로 2009년 연간 약 13조원에 달하는 정부 ICT 관련 지출을 2015년까지 연간 약 2000억원 규모로 대폭 줄이는 야심찬 작업을 진행 중이다.

둘째, 연구개발 민첩성 향상이다. 개발·테스트〃운영 환경 조성에 일반적으로 소요되던 6~12주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일례로 KT 융합기술원은 유휴장비를 활용한 R&D 클라우드 구축으로 HW 확보 기간은 평균 11주에서 수 분 이내, SW 개발환경 구성은 수십 분 이내로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클라우드 구축과 운영에 따른 보안과 재난 대응 관련 일부 우려는 현재 대전, 광주, 대구(예정)에 위치한 정부 통합전산센터 내 분산형 클라우드 방식으로 구축하면 해소 가능하다.

아이디어만 있으면 창업할 수 있는 국가 인프라로 발전할 여지도 크다.

결론적으로 K-R&D 클라우드는 국가 R&D과제 시작부터 개발, 상용화까지 시간과 비용을 모두 줄일 수 있다. 기존 유휴장비 재활용도 가능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공공 부문에서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선도하는 촉매제 역할도 할 수 있다. 나아가 개방형 공공 클라우드로 자리매김해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로 국가 창업지원 인프라가 될 수 있다.

김영명 미래창조과학부 총괄CP(IITP R&D기획본부장) ymkim001@iitp.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