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는 2012년부터 민간과 공공기관에 보급되기 시작해 현재 1000대가량이 도로 위를 달리고 있다. 매년 수백대씩 판매된다. 내년부터는 전기차 첫 정기검사가 실시된다. 2012년 최초 보급 이후 4년이 도래했기 때문이다.
당장 전기차 첫 정기검사가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전기차 검사기준은 아직 없다. 전기차는 점검과정에서 일반 자동차와 달리 고전압 전류를 사용하는 특성상 사용자 안전에 필수인 절연저항 상태나 누전 여부, 배터리 안정도 등을 점검해야 한다. 이 같은 항목을 전기차 대상 검사항목이 추가해야 하지만 당국은 손을 놓고 있다.
결국 민간업체가 나섰다. 지자체 중 전기차 보급이 가장 활발한 제주도 내 자동차정비업체 5사가 모여 한국전기차정비협동조합을 설립했다. 전기차 점검 및 정비기준을 자체적으로 마련해 운전자 안전성을 보장하고 정비 신뢰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조합은 전기차 제작회사와 협력해 차량 안전점검과 사후서비스 체계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기차 부품 공급 및 관리 통합시스템도 구축한다. 갑작스러운 사고발생에 대비해 경찰이나 소방서와 같은 긴급구난기관과 긴급협조체계도 마련한다. 제주도 내 정비업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만큼 훗날을 도모해 도내 대학과 산학협력 방식으로 전기차 정비인력도 양성한다.
시작은 제주도지만 서비스망을 전국으로 확대해 어디서나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용 기반이 조성되면서 자연스럽게 전기차 보급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제조업계와 전기차 이용자가 조합 출범을 반기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아쉬운 것은 정부 당국이 차량 구매 보조금 지급과 충전인프라 확대에만 힘을 쏟고 있을 뿐 사후관리는 준비조차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비인력 양성, 정비 및 검사기준 마련, 안전교육 등 당국이 당장 준비해야 할 일이 너무 많다. 전기차 안전성은 엔지니어가 책임지더라도 그 기준은 정부당국이 만드는 게 맞다. 민간 중심의 전기자정비협동조합 탄생이 반가우면서도 아쉬움이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