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생태계 구축하고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정부가 30일 발표한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은 그동안 기술력 향상에 집중하던 것을 넘어 개발한 기술을 상용화하고 판로를 개척하는 쪽으로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기술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전주기적 지원으로 나노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궁극적으로 산업을 국가 경제발전을 이끌 신성장동력으로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나노 생태계 구축하고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산업적 파급효과 큰 나노=나노기술은 1~100나노미터(㎚) 크기에서 물질을 제조해 새롭게 개선된 성질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범용기술 측면이 강해 정보기술(IT)·생명기술(BT)·에너지환경기술(ET) 등 핵심기술 분야와의 상승적 융합효과가 크다. 지난해 나노기술을 적용한 14㎚ 반도체 공정이 상용화되고 올해 나노소재인 양자점(Quantum Dot) TV가 출시되는 등 나노기술이 성숙해 감에 따라 제조업 혁신의 원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시장규모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3년 세계 나노제품 시장은 1조달러 규모를 넘어섰고 연평균 40%대 고속 성장을 지속해 오는 2020년이면 3조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생태계 구축 주력=정부는 나노 생태계 구축과 정부의 투자 공백을 줄이는데 집중하겠다는 전략을 담았다. 그동안 기술력 향상에 집중하다보니 개별 기업이 상용화를 위한 추가 개발을 해야 했고 시설과 장비 등 투자를 위한 중소기업 부담이 컸다.

실제로 정부가 지난해 12월 570개 나노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책수요 조사에서 대부분의 기업이 신제품·신공정 개발을 위한 기술혁신 인프라 지원을 요청했고 기술개발 이후 상용화까지 단계에서의 투자 공백구간에 대한 리스크 분담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전략에서 7대 산업화 기술 개발과 함께 나노인프라를 확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미래부와 산업부, 환경부는 △나노팹 기업지원 강화 △계산과학 플랫폼 구축 △나노 안전성 확립 △나노제품 성능평가지원의 4대 인프라 확충에 힘을 합치기로 했다.

◇“산업화 전주기 지원”=이날 전략발표에 이어진 산업계와 간담회에서 참여기업 대표들은 기술개발 이후 산업화까지 연결하는 과정에서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병구 네패스 회장은 “나노 기술로 부품을 만들어도 ‘경박단소’에 맞춰 패키징하고 모듈화해야 한다”면서 “현재 정부 차원의 지원은 기초연구와 부품소재 개발까지만 있고 모듈화와 패키지화 지원이 없어 이 부분에 대한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국내외 고객과 접점을 넓힐 수 있도록 전시회 지원을 확대해달라는 요청도 있었다.

김홍철 쎄코 대표는 “제품을 개발하고 나서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세계 전시회에 참가했고, 고객 반응을 듣고 제품을 업그레이드하고 상품화해왔다”면서 “세계 각지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지속 참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고객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준다면 기업이 좀 더 빨리 홀로 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종원 나노미래생활 대표는 나노기술의 특수성을 감안해야 한다는 제안을 했다. 강 대표는 “나노기술 개발해서 상용화까지 1년반 정도 걸리는데, 사업화 자금이 부족해 빚을 내서 썼다”면서 “정부가 스타트업 지원정책을 내놓지만 기준을 3년까지로 규정하면서 우리처럼 3년 6개월된 회사는 재무비율이 좋지 않아 투자 받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석준 미래부 차관은 “산업계 의견대로 생태계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힘쓰겠다”면서 “정부 부처가 기업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지원책을 찾겠다”고 밝혔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