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산업인 통신장비산업이 무너지면 국가 ICT 산업이 균형을 잃게 되게 된다. 글로벌 정보화 사회, 국경 없는 사이버 공간에서 네트워크 보안을 경쟁 국가에 맡기는 형상이 되고 만다.
정부는 지난해 4월 ‘네트워크산업 상생발전 실천방안’을 수립해 국내·외 시장 확대, 요소별 경쟁력강화, 건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실천방안을 도출했다. 2017년까지 공공기관 국산장비 점유율 50% 달성, 선단형 수출전략을 통한 5억달러 해외시장 개척, 전략제품 발굴로 4000억원 신시장 창출이라는 실행목표를 수립했다.
이러한 정책이 일회성 구호로만 끝나서는 안 된다. ICT 부품·장비·서비스·단말 산업 간 동반성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해야 한다. 국내 공공시장 수요 확대와 신기술 연구개발(R&D) 지원, 해외진출 중소기업을 입체적으로 지원하는 ‘종합지원센터’ 등 실효성 있는 정책을 기대하는 업계의 간절한 열망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해외진출 중소기업을 위한 선단형 수출지원 체계 구축도 시급하다. 공동 마케팅과 브랜드 도입, 컨소시엄 구축, 수출 금융 지원을 통한 해외 진출 종합 지원 등 입체적인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전자정부와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솔루션으로 묶고, 공적개발원조(ODA)를 활용한 해외 진출 방안 차원의 적극적 검토가 필요하다.
민간 수요를 창출하는 생태계 정점에 있는 이동통신사업자는 통신산업계 리더십과 힘께 국내 중소·중견 장비업체를 위한 진정성 있는 상생발전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 국내 통신 산업은 통신사와 장비산업계의 긴밀한 상생협력으로 발전돼 왔다. 통신 불모지에서 국산 TDX 교환기를 도입해 국민 편익과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했다. 세계 최초로 국산기술로 제작된 CDMA 장비를 상용화해 이동통신 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또 초고속 데이터 통신망을 국산 광대역통신망(BcN) 장비로 구축해 세계 최고의 ICT 강국이 되었다.
국내 통신장비산업 경쟁력은 통신사의 경쟁력이자 국가 경쟁력이다. 생태계의 수요처로써 갑의 위치보다는 우리니라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사업자로 상생의 경영을 기대한다.
이규태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 부회장 gtleesy@kan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