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핀테크 투자, 상생협업이 우선이다

핀테크(Fintech)가 금융권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를 달구고 있다. 금융당국은 하루가 멀다 하고 핀테크 기업 육성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이며 정책 개선방안을 쏟아낸다. 지난주 3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비대면 실명확인 허용으로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에 대한 길이 열리자 은행들이 핀테크 기업 끌어안기에 바쁘다.

금융권 행보는 신규 금융고객 수요를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로 비쳐진다. 금융이 ICT와의 융합으로 새로운 서비스에 동참하는 젊은 층이 핀테크 시장으로 몰릴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예전과 달리 금융권은 융합과 상생이라는 명분으로 ICT 업계에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고 있다. 비대면 실명확인 허용은 고객이 은행에 계좌를 개설할 때 창구를 방문하지 않고 거래가 가능해진다는 말이다. 점포가 많고 적고를 떠나 편리하고 이미지가 좋은 은행이 유리해진다. 기존 금융권 구도가 깨질 수도 있다.

불분명했던 핀테크 업무 범위를 명확히 하고 투자대상을 세분화하자 금융사들이 바빠졌다. 얼마나 편리한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는지가 판단 대상이다. 많은 핀테크 기업이 금융권을 노크하고 있다. 기술력과 자본이 탄탄한 기업을 끌어안고 투명한 관리로 조기에 ‘핀테크 꽃’을 피울 수 있다면 국내 산업생태계는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다.

우리나라 핀테크는 선진국에 비해 4~5년 뒤처져 있다. 정보통신부가 해체되고, 스마트폰 붐이 일어났을 때 우리 정부와 기업은 투자와 협력 시기를 놓쳤다. 안타까운 일이다. 두려운 것은 금융권 문화다. 핀테크 기업에 은행권은 지금도 슈퍼 갑이다. 중소기업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은행권 핀테크 담당자를 만나기 위해 몇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금융권을 설득하는 데 지쳤다.

핀테크를 하려면 금융권의 뻣뻣한 고개부터 낮춰야 한다. 은행 문턱을 낮춰야 한다. 제도와 정책 규제를 완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선행돼야 할 것은 금융권의 적극적인 협업태도다. ICT 비즈니스는 협력하고 공동의 수익모델을 찾는 일에서 시작한다. 금융권이 배울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