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위기 자초하는 게임업계

김시소 기자
김시소 기자

최근 만난 한 국회의원이 “게임사에는 왜 대관 담당 인원이 없습니까”라고 물었다.

“없긴요. 있습니다”고 답하자 그는 “국회를 상대하는 것이 기업 쪽에서는 그리 중요하지 않을지 몰라도 가끔 게임업계가 두드려 맞는 것을 보면 (대관) 전략이 없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그는 국회 안에서 종종 게임에 우호적인 발언을 한다. 이런 그가 게임사에 대관 담당 인력이 있는지 없는지도 모른다. 국회가 얼마나 게임업계를 모르는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정우택 의원은 최근 게임 확률성 아이템 규제를 골자로 한 규제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자율 규제를 준비하던 게임업계로서는 난처한 일이었다. 게임업계 주요 인사에게 의견을 물었다.

돌아온 답은 대부분 비슷했다. “괜히 규제 건을 기사로 다뤄 논란이 커지는 것은 오히려 안 좋을 것 같습니다.”

기사와 상관없이 이용자는 법안을 반겼다. 무턱대고 아이템 수집에 돈을 쓰는 것을 막아준다니 당연히 환영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 사회가 게임을 다루는 방식은 영악하다. ‘수출 역군’ ‘미래 먹거리’로 칭송 하다가도 또 갑자기 ‘마약’으로 공격한다. 필요에 따라 표변한다. 때려도, 추켜세워도 게임업계는 아무 말이 없기 때문이다.

게임업계가 사회에 대응하는 것은 순진하다. 누군가 공격하면 발끈하다가도 이내 잠잠해진다.

인터넷에는 게임을 공격한 이들을 조롱하는 말들이 넘쳐나지만, 한목소리를 내지 않는다. 국회의원과 정부는 조롱을 듣는 대신 게임이 미운 이의 표를 얻고 예산을 받아간다.

규제 이슈가 터지면 게임업계 종사자는 스스로 ‘마약제조상’ ‘마약유통업자’라며 자조 섞인 말을 한다. 동료가 마약상으로 치부되든지 말든지 게임업계를 대표해 발언하고 행동해야 할 이들은 어디 있는지 찾기조차 힘들다. 이쯤 되면 “게임업계가 위기를 자초한다”는 외부 평가가 틀리지 않은 것 같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