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가 한국에서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뒷북 행정, 늑장 대응과 같은 표현이 지면을 장식하는 요즘이다. 하지만 이런 말들은 치료와 예방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이 상황이 진정되면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빅데이터 분석은 매우 전문적인 분야임에도 이제 대중은 방송에서 예능, 뉴스, 광고 등으로 쉽게 접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플러스 알파를 만들기 위해서도 많이 사용하지만 비정상을 정상으로 바꾸는 것, 즉 기본을 하게 하는 것이 빅데이터 본질이다.
봄이나 가을이 되면 뉴스마다 날씨를 알려주는 시간에 지역별로 벚꽃 개화시기나 단풍 시기를 예상해 지도에 그림으로 표시해 보여준다.
메르스와 같은 질병 역시 지역, 시기, 성별, 연령, 증상 등 보다 정교하게 다차원 분석이 이루어지면 언제, 어느 지역에, 어떤 속도로 퍼지고 누가 주의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정보를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현황을 분석하는 것도 주요 기능이지만,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야말로 빅데이터 활용의 궁극적인 가치다.
메르스와 같은 질병 빅데이터 분석은 실시간 예측까지는 어려울지라도 시간대별 또는 1일 2회 등 주기적으로 갱신된 정보를 국민에게 보여줄 수 있다. 본인도 모르는 본인의 특성을 발견해 맞춤형으로 사전에 정보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부처 간 칸막이 제거, 지역 간 데이터 공유를 해결하는 방법은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빅데이터관리센터를 설치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기존 정부통합전산센터를 통해 빅데이터 업무를 하게 할 수도 있으나 별도로 운영계와 분석계를 구분해 구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거점형 분석체계가 마련되면 질병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자살, 환경오염, 재난사고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는 객관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줄일 가능성을 높인다.
앞으로 국가 빅데이터 분석체계를 갖추지 못하면 메르스와 같은 상황이 재연될 수 있다. 또다시 질병과 관련해 국민이 걱정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그때는 의료계가 아닌 정보통신기술 및 과학계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 책임이 훨씬 크다고 본다.
빅데이터 전문가들은 지속적으로 공공부문 빅데이터 분석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강조하고, 민간부문 빅데이터와의 연계를 통한 기대효과를 설명하며, 빅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중요성을 알릴 의무가 있다.
지난 2년간 미래창조과학부와 행정자치부 주도로 진행된 다양한 빅데이터 시범사업들이 있다. 실제로 국민 생활에 도움을 주는 성공사례도 많다. 이제는 더욱 큰 그림으로 실질적인 사업을 설정,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통합하고 분석할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어느 기관에 어떤 데이터가 있는지를 한눈에 알기 위해 공공 빅데이터 분포 지도를 만들고, 문제가 발생하면 이 지도를 펴놓고 무슨 데이터들을 연결하면 해결할 수 있는지 논의해야 한 다.
투명, 개방, 공유, 소통, 과학, 합리, 객관. 빅데이터를 얘기할 때 항상 같이 등장하는 용어들이다. 골든타임을 지킬 유일한 방법은 빅데이터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빅데이터는 메르스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알고 있다. 제대로 된 대책은 입으로, 손으로, 머리로 세우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로 세우는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를 읽는다는 것은 국민의 마음을 읽는 것이다. 하루빨리 상황이 진정되기 바란다.
한경록 광주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krhan@gj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