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6월 23일, 한국 과학기술의 산실이자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메카인 대덕연구단지가 착공했다.
대덕연구단지는 과학입국이라는 목표에 따라 대통령 지시로 1973년 1월 건설 계획이 시작됐다. 당시 홍릉연구단지가 있었지만, 국가 발전과 성장을 위해 새로운 과학연구단지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대덕연구단지 건설에 대한 최종 계획은 착공 이후인 1973년 12월에 확정됐다. 정부가 수립한 ‘대덕연구학원도시 건설 기본계획’은 연구소, 대학 등과 함께 5만명이 생활할 수 있는 자족적인 도시 건설을 목표로 제시했다. 연구두뇌 집적지 형성, 세계적 수준 과학공원단지 건설, 연구협동체제 정착과 투자 효율, 국토 균형 발전 등을 추진했다.
착공 4년여가 지난 뒤 연구기관 입주가 시작됐고, 1980년대를 거치며 많은 정부출연연구소가 입주했다.
착공한 지 20년 만인 1992년 11월, 대덕연구단지 준공식이 열렸다. 대덕연구단지가 준공되면서 기업부설연구소가 본격적으로 입주하기 시작했다. 1999년에는 대덕연구단지관리법 개정으로 생산시설을 허용하며, 연구개발 실용화와 벤처기업 입주를 지원했다.
이어 2000년 9월에는 대덕연구단지를 산·학·연 복합단지로 발전시키기 위한 대덕밸리 선포식이 열렸고, 2005년에는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출범했다.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30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비롯해 기업과 연구소, 대학 등 1400여 기관이 입주해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연구개발단지로 자리매김했다. 1만명이 넘는 박사급 인력을 포함해 2만7000여명 연구인력, 3만6000여명 생산 및 일반직이 일하고 있다.
현재 대덕특구는 한 단계 도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40년이 넘어가면서 국내 최대 연구개발 및 첨단산업 단지가 됐지만,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새로운 연구소와 기업을 유치하는 등 특구 확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