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로봇 관련 수입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구동·센싱 부품 개발에 정부가 오히려 투자를 줄였다는 지적이다. 전문서비스용 로봇에는 투자를 늘렸지만 사업화 성과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예산정책처가 최근 발간한 ‘2014 회계연도 결산 부처별 분석’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추진한 로봇산업융합핵심기술개발 사업에서 구동·센싱 부품 투자는 총 657억원 가운데 8.5%인 56억원에 머물렀다. 이는 2012년(81억원)보다 25억원 줄어든 수치다.
우리나라 로봇산업 전체 수입액(2013년 기준) 중 구동·센싱 부품 수입은 53%(1961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94.6%는 일본에서 수입한다. 예산정책처는 “수입 의존도가 높아 정부 지원이 필요한 구동·센싱 부품에 투자가 감소하고 있다”며 “관련 기술개발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부품 수요 기반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로봇 융합제품, 공통기술, 부품의 균형적 발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전문서비스 로봇 투자는 2012년 147억원에서 2014년 282억원으로 늘었지만 사업화 성과는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화 성과는 2012년 11건에서 2014년 2건으로 크게 줄었다. 제조업용 로봇, 부품 등 다른 로봇 분야 2014년 사업화 성과는 33건으로 2012년(34건)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산업부가 추진한 글로벌기술이전·거래역량강화 사업은 성과 목표치가 과소 설정됐다는 지적이다. 2011~2013년 지원기업수 대비 계약 성사 건수가 평균 57.2%고, 2013년 72.3%까지 높아졌지만 2014년 성과목표치를 51.5%로 지나치게 낮게 설정했다는 평가다.
예산정책처는 산업 현장 기술인력 대상 재교육 실적 부족, 헬기 국제공동개발 사업 지연, 신뢰성 평가센터의 저조한 국제상호인증 체결 실적 등도 개선 과제로 지적했다.
연구개발(R&D) 예산 지원의 중소·중견기업 비중이 높아진 점은 성과로 평가했다. 지난해 산업부는 R&D 예산으로 총 3조2457억원을 집행했다. 이 가운데 중소·중견기업에 1조4517억원, 대기업에 3911억원을 투입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중소·중견기업 지원은 11.6% 늘고, 대기업 지원은 19.3% 감소한 수치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