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과 노하우가 부족한 핀테크 업체끼리 초기 경험을 공유하는 협력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소프트웨어 솔루션 공동 구매부터 협의체 구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국내 핀테크의 판을 키워나가는 ‘공생’의 발돋움이다.
국내에 크라우드펀딩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한 2013년 고용기 오픈트레이드 대표를 중심으로 크라우드펀딩기업협의회(KCFPS)가 결성됐다. 크라우드펀딩업체가 모여 의견을 나누고 업계를 키우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 위해서다.
최근 크라우드펀딩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협의회는 사업 추진에 보다 힘을 얻게 됐다.
신혜성 크라우드펀딩기업협의회 부회장(와디즈 대표)은 “크라우드법 통과 전후에 크라우드펀딩업체가 함께 목소리를 모으고 의견을 취합해 정부기관에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데 협의회가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초기단계인 개인 간(P2P) 대출 서비스를 진행하는 기업도 협의체 구성을 논의 중이다.
최근 김영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P2P 대출 업체를 모아 간담회를 진행했다. 업계와 간담회 이후 연구를 위해 P2P 대출 사이트인 8퍼센트에 1억원 대출을 신청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김대윤 피플펀드 대표는 “국회 간담회뿐 아니라 P2P 대출업체끼리 정보 공유 등을 위해 자주 소통하고 있다”며 “새로운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보니 함께 나서서 업계를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모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타트업이 금융 서비스를 제작하려면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다. 비용문제 극복에도 핀테크 기업 간 협력은 필수다. 국내에서 결제 기능을 탑재한 앱을 제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모듈 솔루션도 개별 구매하면 가격대가 높다.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한 외산 솔루션 업체가 10개사를 모아 구매를 진행하면 솔루션 구입비용을 낮춰주기로 해 업체를 공모하고 있다”며 “아무래도 스타트업에서 감당하기 힘든 높은 비용 현실을 감안해 업계가 머리를 맞대 낸 결과”라고 전했다.
관련 규제가 전무한 국내 비트코인산업 발전 논의도 지속적으로 업계 간 협력과 소통으로 한 단계씩 나아가고 있다.
김일선 인프라베이직 대표는 ‘한국판’ 영국디지털화폐협회 구성을 준비하고 있다.
김일선 대표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비트코인을 제도권 화폐로 인정한 영국에서 과정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이 바로 영국디지털화폐협회”라며 “초기 단계인 국내 비트코인 산업에서 보다 공신력 있는 업계 목소리를 모으고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한 협회 구성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