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 상하이 2015]이통 3사 CTO “5G, 서비스·콘텐츠 없으면 무용지물”

국내 통신 3사 최고기술책임자(CTO)가 5세대(5G) 이동통신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선결과제로 서비스와 콘텐츠 생태계 조성을 꼽았다. 정부의 빠른 5G 로드맵 제시도 강조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3사 CTO는 16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상하이 2015’가 열린 상하이 뉴인터내셔널엑스포센터에서 기자와 만나 5G 진입을 위한 해결조건으로 국가 차원의 명확한 로드맵 제시와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로드맵을 확정하면 서비스 사업자는 물론 국내 벤처기업들이 5G 콘텐츠와 서비스를 개발, 생태계를 먼저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은 “통신속도는 여러 요구 사항 중 하나일 뿐이기 때문에 서비스와 콘텐츠, 플랫폼 중심 생태계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5G 생태계를 위해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정부의 분위기 조성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
최진성 SK텔레콤 종합기술원장

이동면 KT 융합기술원장은 “3G 시절 애플 아이폰이 없었다면 사람들은 ‘4G가 왜 필요하지’라고 생각했을 것”이라며 “아이폰이 4G 킬러 제품으로 등장한 것처럼 5G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동면 KT 융합기술원장
이동면 KT 융합기술원장

김선태 LG유플러스 SD본부장 역시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고민해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며 “LG유플러스가 홈 IoT 서비스를 내놓은 것도 5G로 가기 위한 출발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선태 LG유플러스 부사장
김선태 LG유플러스 부사장

3사 CTO는 5G가 전혀 새로운 기술이 아니며 4G에 차세대 기술이 결합해 발전하는 기술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새로운 서비스가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등 초고속, 초저지연이 필요한 곳에 우선 적용되면서 확장된다는 시각이다. 기존 통신서비스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사업권 허가가 아닌 ‘주파수 배정’ 차원 문제라는 것이다.

5G에 필요한 주파수 정책 필요성도 강조했다. 최 원장은 “중국 정부는 5G를 위한 6㎓ 이하 대역 일부를 지정하는 등 주파수에 대한 관심이 많다”며 “우리나라도 연구실 차원이 아니라 외부에서 테스트할 수 있는 시험주파수가 하루 빨리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부사장은 “6㎓ 미만뿐만 아니라 밀리미터 웨이브를 위한 고주파 대역 주파수 확보도 생각해야 한다”며 “정치적 목적이나 이해관계에 따른 주파수 분배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트래픽 폭증에 대비하기 위한 주파수 분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3사 CTO는 5G 시대로 가기 위한 핵심 기술 분야로 LTE-M과 표준화, 실시간·인텔리전스를 꼽았다. LTE-M은 사물인터넷(IoT)에 사용되는 LTE 기술 표준으로 연말부터 표준화가 차례로 완료된다.

최 원장은 “네트워크 성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준비하고 있는데 핵심은 LTE-M”이라며 “연말 새로운 LTE-M 표준화가 완료되면 내년부터 LTE-M 기반 IoT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사장은 “LTE-M 표준은 카테고리1(Cat.1)과 카테고리0(Cat.0) 등으로 정의되는데 버전이 낮을수록 통신 반경은 넓어지고 소비 전력은 낮아진다”며 “표준이 완료되면 IoT 활성화의 걸림돌이 사라지게 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5G 시대는 실시간이 강조되는 시대가 될 것”이라며 “리얼타임 클라우드, 리얼타임 인텔리전스를 통한 의사결정 등 지금은 불가능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상하이(중국)=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