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완용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국장)과 하성호 SK텔레콤 CR부문장, 심재희 벤처기업협회 수석부회장이 주제 발표자로 나섰다. 이들은 정부와 이동통신사, 장비업계 등 각 분야에서 바라보는 통신산업 현황과 미래 전략을 소개했다. 이들은 국내 통신장비 업계의 어려운 현실에는 공감했지만 내놓은 해결책은 서로 달랐다.
정완용 국장은 국내 통신장비 업계 어려움 해소를 위해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 상용화, 소프트웨어 기반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개발, 동반성장 등 다각적 방안을 고민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국장은 “국내 통신장비 시장은 중소기업 위주 열악한 기업 환경과 저조한 점유율, 지속적 순익 감소에 직면하고 있다”며 “정부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ICT 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2013년 8월) 등 다양한 정책과 공공 수요 확대책을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세 가지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국내 업체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우리가 가진 LTE 기술력을 기반으로 5G 상용화, 표준화를 추진하는 일이다. 수요 유발을 통해 장비 업계 성장과 해외 진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정 국장의 설명이다.
정 국장은 “5G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SDN) 등 소프트웨어 기반 기술을 개발하는 데 연구개발(R&D) 사업의 중점을 두는 것이 두 번째”라며 “마지막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정책적 차원에서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성호 부문장은 우선 통신 산업이 국가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2014년 기준 모바일 산업의 국내총생산(GDP) 기여도가 11%로 미국과 중국의 3배에 이른다고 말했다. 또 통신 관련 설비투자(CAPEX)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3~4위를 유지할 정도로 해외에 뒤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하 부문장은 “하지만 과거 네트워크 중심 이동통신 산업이 스마트폰과 콘텐츠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이통 서비스 산업도 성장 둔화에 직면했다”며 “이통사 CAPEX 감소는 LTE 투자가 완료된 탓도 있지만 이통사의 전체적인 수익 저하, 성장 정체도 큰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통사 역시 쉽지 않은 환경에 직면했다는 얘기다.
하 부문장은 “이런 상황에서 장비 업계가 성장하려면 우선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가치 인식이 달라져야 한다”며 “플랫폼과 콘텐츠도 결국엔 네트워크 기반 위에서 결실을 맺는 것이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한 산업 전반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통사 측면에서 장비 활용을 늘리려면 5G와 사물인터넷(IoT) 등을 위한 주파수 조기 분배와 할당이 필요하다”며 “5G에 적기 투자하면 7년간 700조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기대되는 만큼 차세대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공급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심재희 부회장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 하더라도 국내에서 이를 지원할 통신장비는 30% 미만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통신장비 분야에서 기술 종속이 심화되고 있으며 산업 쇠퇴 등 이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심 부회장은 “통신은 기간산업으로 국가경쟁력의 미래를 좌우하는데도 이를 인지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며 “국산 통신장비가 우리 산업의 근간을 이뤄야만 국가 안보를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용절감 이라는 명목으로 해외 장비를 우선적으로 쓰는 탓에 산업 활성화는 요원해졌다고 지적했다.
심 부회장은 현재의 통신 산업은 소프트웨어 가상화 기술로 HP나 IBM 같은 컴퓨팅 업계의 진입이 용이해졌고, 중저가 분야는 오픈소스에 밀려 설자리를 잃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5G와 재난안전통신망, LTE 기반 사물인터넷(LTE-M), 철도통합무선망(LTE-R) 등에서 기회는 있다고 강조했다.
심 부회장은 “재난망 같은 국가사업과 전략적 R&D 사업에 대해서는 국가가 국내 업체의 설 자리를 만들어주고 투자를 해줘야 한다”며 “이통사는 CAPEX뿐만 아니라 운용비(OPEX) 측면에서 장비 업계가 제대로 유지보수 비용을 받을 수 있도록 상생 노력을 해달라”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
안호천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