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테크노파크, 특화센터 통합 운영 2년…변화는

부산테크노파크가 특화센터 통합 운영으로 투명 경영과 비용 절감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부산테크노파크(원장 김태경)는 지난 2013년 전국 처음으로 특화산업기술본부를 신설해 기계부품지원센터 등 8개 지역특화센터를 하나로 통합했다.

부산테크노파크, 특화센터 통합 운영 2년…변화는

지역특화센터는 정부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 인프라로 2003년부터 전국에 구축돼 현재 60여개가 운영 중이다. 2009년 정부 정책에 따라 지역 TP로 흡수됐다.

부산TP 특화센터 통합 운영이 주목 받는 이유는 물리적 흡수를 넘어 센터 통합 핵심 목적인 운영과 관리까지 화학적 결합을 이뤘기 때문이다.

부산TP는 특화산업기술본부 체제로 8개 센터를 통합한 후 각 센터장 인선을 기존 공모 방식에서 내부 발탁으로 바꿨다. 특화 센터장을 TP 내부 인력에서 뽑아 맡기는 곳은 부산TP뿐이다. 또 센터 간에는 물론이고 TP 본부와 센터 간 인력과 보직을 순환하고, 올 들어 회계까지 통합해 완전 단일 운영체제를 확립했다.

주목할 점은 TP와 특화센터 일원화된 운영으로 부산TP 자체 경영 효율성이 개선됐다는 것이다.

과거 특화센터마다 필요 인력을 수시로 자체 조달하던 것을 지금은 TP 전체 인력수급 상황에 맞춰 인사이동 등 인력 재배치로 이를 해결하고 있다. 신규 사업 확보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인력 수급 편차를 내부 인력 적재적소 배치로 해소한 셈이다.

부산TP 관계자는 “높은 연봉을 받았던 센터장을 부장급 내부인력을 발탁해 맡기고, 신규 채용에 앞서 인력을 재배치해 연간 수억원 비용절감 효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실제로 2012년 말 특화센터를 포함해 210명 이상이던 부산TP 전체 인원은 현재 160여명으로 줄인 상태다. 반면에 특화센터 장비 가동 수익은 2012년 20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말 40억원으로 두 배가량 늘었다.

또 다른 성과는 특화센터를 포함해 TP 전체 운영 투명성 확보다.

부산TP 본부 관계자는 “통합 이전에 특화센터는 인력 채용과정은 물론이고 각종 지출 항목 등 운영 상황을 센터 내부 임직원 외에는 알기 어려웠다”며 “지금은 8개 센터 사업비 확보에서 간접비 규모, 각종 수입 지출 항목을 TP 전체 회계로 통합해 모두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센터장 발탁 및 교체 때는 한 달 전 내정자를 공개해 내부 임직원 여론을 수렴 과정도 거치고 있다.

센터장은 물론이고 말단 직원까지 인력을 순환하면서 센터 내 세부 정보를 다수가 공유하게 된 점도 센터 투명성 확보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경영 효율화를 발판으로 부산TP는 지난해와 올해 연거푸 지역산업진흥계획과 거점기관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김태경 원장은 “부산TP 지역산업기획 전문성과 향상된 효율적 운영 능력이 입증됐다”며 “기업 지원이라는 공적 책임 의식과 임직원 업무 수행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지역 창조경제 활성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