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메르스 종식 선언, 포스트 메르스 대책이 중요하다

정부가 28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사실상 종식을 선언하면서 메르스 정국은 일단락됐다. 사태발생 69일 만이다. 메르스 사태가 남긴 교훈을 되새기며 경제 살리기 총력전에 돌입할 때다. 남은 숙제가 만만치 않다.

메르스 사태는 초기에 막을 수 있었다는 여론이 적지 않다. 36명 사망자와 20조원의 막대한 사회적 손실 발생 책임과 시시비비를 가려야 한다. 정부는 우선 시민단체와 정치권 목소리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 메르스 종식 선언 직후 야권에서는 벌써 문책·책임론이 나온다. 시민단체는 국정조사를 촉구했다. 제2, 제3의 메르스 사태 방지를 위해서라도 무엇이 잘못됐고 부족했는지를 정확히 가려 책임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민간 병원이 모든 책임과 부담을 떠안은 수습과정도 들여다봐야 한다. 사태 수습에 혼신을 다한 의료인과 방역 관계자에 대한 격려도 잊어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내수 부양이다. 정부와의 교감 여부는 차치하고 일단 기업이 나섰다. 이재용 부회장 대국민 사과와 함께 삼성 그룹은 총력 지원에 들어갔다. 삼성서울병원이 진원지라는 부담을 안고 있는 삼성은 휴가철을 맞아 전통시장 상품권 300억원 상당을 구매해 계열사 사업장 협력·용역회사 직원에게 지급했다. 해외 거래처 직원을 국내로 초청하고 현지 우수사원을 대상으로는 한국 관광 포상휴가를 제공했다. 현대차그룹도 해외 현지 임직원이 참여하는 하반기 대규모 행사를 국내에서 열기로 했다. SK그룹은 계열사 경영진이 직접 나서, 중국 현지에서 한국 방문단 유치 홍보에 적극적이다. LG그룹도 전통시장 상품권 구입, 중소 협력사 자금지원 등 내수 살리기에 온 힘을 쏟고 있다.

메르스 종식 선언과 동시에 박근혜정부는 내수와 수출 살리기라는 시험대에 다시 올랐다. 국민의 눈과 귀는 향후 정부 행보에 쏠려 있다. 포스트 메르스 대책은 민간과 정부 호흡을 맞춰 경제 상승곡선을 만드는 일이다. 책임은 묻되 불필요한 정쟁은 피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