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차이나리스크와 한국의 운명

지난주 중국의 기습적 위안화 평가절하에 이어 중국증시 쇼크가 글로벌 경제를 흔들었다.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7% 달성이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차이나쇼크에 놀란 일본은 100조엔 추가예산을 푼다고 발표했다.

25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6.41% 떨어진 3004.13으로 출발해 ‘검은 화요일’을 예고했고 결국 3000선이 붕괴됐다.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 경기 불안정성이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국면을 당분간 이끌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시장 불안 해소를 위해 부양조치를 내놓아도 중국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신 때문에 시장에 정반대 효과를 불러오고 있다.

중국은 20여년간 세계경제 성장판이었다.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빠르게 추격자 전략을 추진했고, 세계 2위 대국으로 성장했다. 경제전문가는 중국 성장판이 닫힐 수 있다는 경고음을 내고 있다. 중국경제는 1~2년가량 조정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 거품을 걷고, 내실을 다지는 기간이 될 것이다.

차이나리스크는 두 가지 시사점을 준다. 하나는 중국 경제 불안에 따른 국내 경기침체 가능성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 경제 호황에 따른 우리 기업의 위험부담 증가다. 중국경제가 살아나도, 위험해도 의존도가 높은 우리에게는 치명적이다. 그래서 차이나리스크다. 해결할 수 있다면 리스크가 아니다.

중국은 이를 계기로 내부 전열을 다질 것이다. 기업 내부 투명성을 확보할 것이고, 중국 정부 경제정책을 더욱 자본주의 틀에 맞출 것이다. 이미 선진기술을 따라잡은 ICT기업은 국내 시장보다는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선진국가로 수출을 강화할 것이다. 이래저래 우리는 다급할 수밖에 없다.

1차는 금리와 환율 안정이 필요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중국기업 혁신에 주목해야 한다. 중국 경기 위험요인은 단기간 문제고, 샤오미, 화웨이, 알리바바, 텐센트, 레노버 등 이미 글로벌 기업이 된 중국 ICT 기업과의 경쟁은 중장기적 문제다. 기술, 마케팅, 혁신 경쟁을 벌여야 하기 때문이다. 기업과 정부의 빈틈 없는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