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업계가 국가 온실가스 감축 이행을 위해 석탄 설비를 가스 설비로 교체하는 연료 전환을 준비한다. 온실가스 감축 기여방안(INDC)에 담고 있는 2030년 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발전사 유연탄 연료의 액화천연가스(LNG) 전환이 거의 유일한 대안이란 인식에서다. 정부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현실적으로 다른 길이 없는 상황이다.
13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일부 발전공기업이 온실가스 감축 방법으로 석탄 이외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다. 발전사 석탄화력이 국가 온실가스 배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업종 특성상 연료전환 없이는 전력을 생산하지 않는 것 밖에 뾰족한 감축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당초 발전사는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중소기업 감축행동을 지원해 노력을 인정받는 상쇄배출권 활용, 배출권 구매, 이산화탄소포집저장(CCS), 일부 발전량 축소 같은 방법을 써왔다. 하지만 상쇄배출권은 해당 중소기업이 실제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인정받지 못하고 배출권 외부 구매도 감축의무를 모두 채우기에는 시장 불확실성이 너무 컸다.
CCS기술은 현재로선 2020년 이후에도 상용화나 경제성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나마 상용기술을 확보했다 하더라도 부지 확보라는 또 다른 변수가 남아있다. 시장가격이 낮은 시간에 발전소 가동률을 단계적으로 낮추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감축량보다 영업적 손실이 더 크게 났다.
결과적으로 현재 석탄화력 발전사는 가스 같은 온실가스 배출이 상대적으로 낮은 다른 연료 사용을 늘리는 것 밖에 다른 카드가 없는 실정이다. 사실상 국가 전체적으로도 전력 생산 연료전환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현재 석탄화력 설비에 폐기물 재활용 연료 혼소비율을 높여 신재생에너지 의무량을 모두 채우고 배출권까지 확보하는 방법도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석탄의 LNG 전환을 피할 수 없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정부는 아직 온실가스 감축 이유로 석탄과 LNG 역할이 바뀌는 일은 없을 것이라 하지만, 발전업계는 이 같은 전환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발전사가 극약처방과 다름없는 이 같은 방안까지 준비하고 나선 것은 기후변화협약에 의한 제약이 현실로 다가온 위기의식 때문이다. 업계에선 올해 연말 파리합의에서 INDC 보고와 관련한 국제적인 법적 구속력이 더해지면 사업적 제약은 더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연료전환에 따른 비용 상승이다. 석탄과 LNG 가격 차이가 큰 우리나라는 LNG 연료전환에 따른 전반적 물가 상승 여파가 클 수밖에 없다. 정책적으로 전력소매 요금 인상을 막고 있는 상황에서 연료전환 비용이 시장에 반영될지 여부도 논란거리다.
학계에선 온실가스 감축 관련 직면한 현실에 비해 정부 대응은 너무 느긋하다는 시각까지 나온다. 석탄이 LNG로 바뀌었을 때 비용 상승분의 시장 반영과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 등 준비해야 할 일들이 많다는 지적이다. 학계는 우리나라 석탄과 LNG 가격 차이를 기준으로 할 때 연료전환 비용이 이산화탄소 1톤당 10만원가량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력업계 한 관계자는 “경제급전순위로 발전을 하고 최종 전력가격은 정책적으로 제한하는 시장구조에선 연료전환에 따른 부작용이 클 수 있다”며 “연료용 가스 도입을 경쟁체제로 바꿔 석탄과 LNG 가격 격차를 줄이는 등 여러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