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누구 자식인지 모르겠습니다.” 지방과학연구단지(사이언스파크) 담당자 하소연이다.
사이언스파크는 과학기술기본법과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라 지역 연구개발 역량을 높이기 위해 만들었다. 2004년 첫 삽을 뜬 후 2008년 광주에 처음 조성했다. 지금은 대구, 부산, 충북 등 전국에 10개 사이언스파크가 들어섰다.
사업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가장 기본적인 것이 ‘연구개발지원단’ 사업이다. 지역 내 과학기술 진흥을 위해 연구개발(R&D) 성과 조사와 분석,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및 활용, 과학기술 성과 확산 등이 주 업무다.
연구개발지원 사업은 10개 사이언스파크 전유물이 아니다. 미래부 고유 사업이지만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4개 테크노파크와 경기도 소속 과학진흥기관도 참여한다. 사이언스파크 종사자들이 “우리가 누구 자식인지 모르겠다”며 볼멘소리를 하는 이유다.
사이언스파크 문제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최대 사업(지역혁신창의인력양성) 주관 부처는 미래부가 아닌 교육부다. 지난 정부 교육과학부 시절 사업이 시작돼 부처 업무를 조정하면서 과학이 아닌 교육 쪽에 이 사업을 남겼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몇 년 후 일몰된다.
설상가상 미래부가 사이언스파크에 지원하는 2억원 이상 사업(지역특화맞춤형기술이전)은 내년 예산이 없어졌다.
사이언스파크가 하는 3개 사업 중 2개는 소관 부처가 얽혀 있고 1개는 폐지될 위기다.
정부는 10개 사이언스파크 조성에 10년간 1300억원이 넘는 국비를 투입했다. 인프라 조성을 마치고 이제 역할을 확대해야 할 때다. 하지만 입지는 오히려 쪼그라들고 있다.
“현장 목소리에 좀 더 귀 기울이고 지방 특성을 살리는 R&D 투자 지원을 하겠습니다.”
차관급 정부 관료는 몇 해 전 사이언스파크를 방문해서 이 같은 말을 했다. 공수표가 됐다.
방은주 전국취재부장 ejb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