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핀테크 활성화, 은행장이 나서야

[기자수첩]핀테크 활성화, 은행장이 나서야

은행 부서별로 핀테크 온도차가 크다. 핀테크에 관심을 두고 불철주야 뛰는 곳은 IT기획실이나 스마트금융부다. 나머지 부서는 뒷짐 지고 지켜본다. 변화를 꺼려 하는 은행 조직 보수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새로운 서비스보다는 금융 사고를 조심해야 하는 은행 업무 특성 때문이다.

은행에서는 선도적으로 핀테크 서비스를 내놓았다가 금융 사고나 문제라도 발생하면 누가 책임질 것인지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금융은 대표적인 규제사업으로 지칭된다.

기존 비합리·고비용 대출 구조를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신용평가 모델을 기반으로 대출 상품을 만들어도 은행 내 관리 부서에서는 기획안을 보자마자 퇴짜를 놓는다. 기존에 없던 고객 서비스를 내놓고 싶어도 ‘준법관리팀’에서는 현행법에 나와 있지 않으니 ‘노(No)’를 외친다. 수수료를 낮추고 송금시간을 대폭 단축한 외환 시스템을 도입하려 하지만 이 역시 전통외환관리 부서에서는 ‘모험은 하지 말자’며 외면한다.

사고를 대비한 책임회피일 수도 있고 ‘밥그릇’을 내어놓기 싫은 이기심 때문일 수도 있다. 핀테크 부서가 벤처 기업 혁신적인 기술을 받아들여 시장에 선보이고 싶어도 현업 부서와 업무추진이 빈번하게 가로막힌다.

핀테크는 ‘휘발성 열풍’이 아니다. ‘반짝 하다 말겠지’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급부상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우리나라만 빼고 해외는 금융산업 주류는 핀테크로 옮겨 갔다.

금융권 핀테크 바람이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비(非)핀테크 부서의 열린 마음과 그에 해당하는 실질적 조치가 필요하다. 기획, 마케팅 등 현업 부서 협조가 없다면 모든 게 원점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은행장이 나서야 한다. 은행장이 나서지 않는다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 조직 절반 이상을 핀테크에 쏟아붓는 과감한 결정만이 앞으로 승자가 된다. 행장 주재 ‘끝장 토론’도 권할 만하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