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지구환경 혁신기술 개발에 달렸다

[전문가 기고]지구환경 혁신기술 개발에 달렸다

‘환경난민’이 새로운 전 지구적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환경난민’은 가뭄, 사막화, 산림파괴 등 환경적인 요인이나 이에 파생되는 인구폭발, 내전으로 인해 실향한 사람들이다. 최근 모 언론에는 ‘유럽 난민사태 뿌리는 기후변화, 환경난민 시대 열렸다’는 기사가 실렸다. 시리아 내란으로 난민이 발생했지만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발생한 기상관측 사상 최악의 가뭄으로 인한 물과 식량 부족이 난민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달 개최되는 유엔 총회와 오는 12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도 ‘환경난민 시대’에 어떻게 대처할지가 주요 의제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만남이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이루어진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에너지와 기후변화 대책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온실가스 최대 배출국인 미국과 중국은 지난 2013년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탄소배출량을 줄이기로 합의했다. 그동안 기후변화 논의에 신중했던 오바마 대통령도 2025년까지 26~28%를 감축해 2005년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기후행동계획을 발표했다.

이처럼 세계 주요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발 빠르게 국가 간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환경오염 제품 사용 규제나 공산품 에너지 효율 표시 의무화,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규제 등 새로운 환경규제 강화로 인해 국내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지는 ‘글로벌 신기후체제’ 출범이 가시화하면서 정부도 2030년까지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줄이기로 상향조정 하는 등 글로벌 추세에 동참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 움직임 속에서 정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실현하고 산업계에 미치는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큰 혁신 기술, 그 중에서도 기업이 개발하기 어려운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지난 8월 미래부가 기후변화대응과 신시장 창출을 위해서 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이차전지, 이산화탄소 포집처리기술 등 6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에 지원을 확대한다고 밝힌 배경이다.

올해 500억여원 투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앞으로 당장 수익을 기대할 수는 없으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좌우할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일부에서는 2011년 이후 매년 50억~200억원 규모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Carbon Capture & Storage)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해 기존 기술보다 1000배 이상 성능이 향상된 세계 최고 수준 CO2분리막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전이 시작된 것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오는 2050년께 CCS 시장규모가 연평균 84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우리도 차세대 바이오 산업, 나노소재 기술개발, 인공위성개발사업, 핵융합 기술 등 미래 원천 기술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다가올 글로벌 기후 환경 변화에 지속적으로 선제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 미래는 지구적인 환경 문제 대응을 위한 혁신적 원천 기술 확보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준동 한국연구재단 사무총장 jdkim413@nrf.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