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료진과 중국 환자를 연결하는 원격진료가 올해 말 시행에 들어간다. 수천㎞ 떨어진 물리적 거리를 극복한 진료시스템이 현실화된다. 환자가 본인 의료기록을 의료플랫폼에 올리면 2주 안에 미국 의료기관이 발급한 진단과 처방전을 받을 수 있다. 일부 환자는 해외에 가서 직접 검사를 받을 수도 있다. 미국 의료기관 유나이티드헬스케어, 마요클리닉, 메모리얼슬론케이터링 암센터 등이 참여한다.
이 같은 원격진료 시스템 도입은 질 낮은 중국 의료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수요에다 중국 의료계에 대한 환자 불신이 한몫했다. 많은 중국인은 암 등 심각한 질병에 해외 의료진 손길을 희망한다.
해외에서는 이처럼 헬스케어 시장을 두고 거대한 변화 물결이 일고 있다. 구글, 애플 등 다국적 IT기업도 헬스케어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육성 중이다. 의료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도 활발하다. 미국, 호주와 일본 정부 역시 원칙적으로 원격진료를 허용한다. 이들 나라에서는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는 격오지 주민을 상대로 원격진료가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의료계 반발에 한 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원격의료 도입은 표류 상태다. 시기상조론에 막혀 의료법 개정안 통과 역시 불투명하다. 단지 지난해 9월부터 올 3월까지 산간벽지와 교정시설을 대상으로 원격진료 시범서비스가 진행됐고, 현재 2차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분당서울대병원·서울성모병원이 해외에 원격의료 서비스 등을 수출하고 있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서비스 구현조차 못하는 게 현실이다.
원격의료는 헬스케어 시대 핵심 산업이다. 스마트 헬스케어와 함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꼽힌다.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는 법제도를 정비하거나 규제완화로 활성화를 지원한다. 지금 이대로 가면 우리나라 원격의료 현실은 세계 흐름에 역행한다. 수백조원 규모 시장을 놓치는 실기를 범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