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정보기술(IT) 발달로 인터넷전문은행 등장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일각에선 오프라인 지점을 통해 영업 서비스를 지속해온 전통적인 금융서비스의 종말을 예고했다. 액센츄어 분석에 따르면 지점을 두고 영업하는 전통적인 방식의 은행은 2020년까지 기존 시장이 35% 넘게 사라질 전망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의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공모델 발굴이다. 최근 금융업계에서는 핀테크 기반 인터넷전문은행을 김춘수 시인의 ‘꽃’에 빗댄 문구까지 등장했다.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핀테크 비즈니스가 새로운 분야가 아니라 원래부터 있었던 사업이지만 이제 서야 ‘꽃’으로 불린다는 점과, 꽃망울을 피워야 함에도 피우는 방법을 몰라 ‘바람’만 가득하다는 것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인터넷전문은행 기반 꽃망울이 개화했다.
금융업계와 IT업계는 핀테크의 꽃이 열매로 맺어지기 위해서는 인터넷전문은행 진흥에만 신경 쓸게 아니라 한국 입맛에 맞는 틈새시장 공략과 다양한 스타트업 아이디어가 융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컨소시엄 참여자들의 속내도 다르지 않다. 군침 도는 1호 라이선스 획득을 위해 일단 참여는 하지만 명확한 목표와 구체적인 사업 방향은 ‘중신용 대출’ 정도로 국한된다.
미국과 유럽, 일본은 지급결제 외에 해외 송금 서비스, P2P대출, 개인자산관리서비스, 자동 신용평가 사업 등 전통 금융사가 유료화하거나 접근이 힘들었던 사업을 인터넷전문은행에 접목해 큰 성공을 거뒀다. 바로 현지화다.
기존 은행이 오프라인 지점(branch)을 기반으로 하면서 인터넷 모바일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에 인터넷 전문은행은 개별 독립회사 형태로 지점 없이 인터넷과 모바일만을 이용해 소비자금융에 특화한 금융 서비스를 내놓았다.
초기에는 완전 무점포형의 인터넷전문은행이 설립됐지만 최근에는 ATM 네트워크를 확충하거나 인터넷 카페, 키오스크(Kios) 인프라를 활용해 오프라인 채널을 보조수단으로 이용하는 컨버전스형 은행도 등장했다. 한국형 인터넷전문은행이 고려해야할 선결과제다.
추상적인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은 실패로 이어질 것이 분명하다.
성공한 해외 인터넷전문은행은 오프라인 네트워크와 경쟁하기 보다는 온라인과 모바일을 주요 영업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대면 채널을 적절히 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 전통 은행이 영위하고 있는 사업을 좀 더 편리하게 변형시켜 비대면 채널 안으로 편입시키고 고객에게 파괴적이고 창조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용고객이 은행 직원으로부터 각종 금융상품에 관한 상담이나 서비스를 받기보다는 스스로 은행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금융상품을 검색하고 은행업무를 처리하는 일종의 셀프서비스 시스템 접목이 관건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 유럽, 중국 사례에서 보듯이 기존 금융 서비스를 대체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거래와 금융 소비자의 사용 행태를 만들어 낼 수 있어야만 성공이 가능하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 금융 기관은 핀테크 기업과 협력하고 아이디어와 기술을 활용해 금융업권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파괴적인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P2P대출 박성준 펀다 사장은 “국내 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엄은 사이즈 위주의 합종연횡으로 구성돼 핀테크 업체 참여가 저조한 면이 아쉽다”며 “인터넷전문은행이 안착되기 위해서는 스타트업의 유기적인 협력과 잘 버무린 혁신 서비스가 나오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
-
길재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