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독보적인 기술을 갖추고 있더라도 ‘덩치’가 크지 않으면 중소기업은 상대를 해주지 않습니다. 조금의 위험 감수도 하지 않겠다는 것이죠.”
어느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업체 대표가 이같이 푸념했다. 그는 국내 대기업에 기술력을 인정받았지만 회사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직접 계약하지 못했다. 덩치 큰 투자처를 물색해서 대리 계약하는 방식으로 가까스로 수주했다. 경영난에 허덕이는 것도 아니고 단순히 회사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역차별을 당했다는 것에 대표는 볼멘소리를 했다. 그나마 이번 프로젝트는 ‘보증’을 서 준 업체가 나타나 잘 풀린 것으로 봐야 했다. 몇 차례 성능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했지만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무시당하기가 일쑤였다. 이 회사는 최근 외형 확장을 위해 유통서비스업으로 신규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또 다른 중소 장비 업체는 최근 중국 고객사로부터 제품 수주는 물론이고 투자 제의까지 동시에 받았다. 고객사에서 잠재 성장력이 크다고 판단했고, 이에 설비 투자를 하고 싶다는 의향도 밝혔다. 기업 규모나 네임 밸류는 아래 순위였다. 오로지 보유한 기술력으로 평가했다. 이 회사는 그동안 국내 여러 업체 문을 두드렸지만 신생 중소업체로 입찰 참여 기회조차 얻기 힘들었다.
국내 대기업은 강소기업과 상생을 얘기한다. 매출이나 자산규모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협력사 자리는 ‘언감생심’이다. 국내 대기업은 지금 위험을 감수할 체력이 없다. 기술 혁신을 운운하면서도 위험 요인은 감내할 수 없다는 게 대기업이다.
협력사 경쟁력은 곧 기업 경쟁력으로 직결되는 시대다. 협력사 선정에 엄격한 기준과 잣대가 필요한 것은 당연하다. 추격자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면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면 기술만을 믿고 ‘지를’ 수 있어야 한다. 위험 감수를 거부할수록 기회와 혁신에는 멀어질 수밖에 없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
-
성현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