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SK텔레콤이 끊이지 않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이하 재난망) 부실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중책을 짊어졌다. 재난망은 지난해 정보전략계획(ISP) 수립 때부터 계획 부실과 혈세낭비 논란에 휩싸여왔다. 검증을 통해 논란을 마무리 짓고 본사업을 준비하기 위한 시범사업이 시작된다.
1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국민안전처는 이번 주 우선협상을 마치고 재난망 시범사업에 착수한다. 지난 7일과 8일 열린 제안발표회에서 KT 컨소시엄(KT, 위니텍, 아이티센, 한국전파기지국)이 제1사업(평창), SK텔레콤 컨소시엄(SK텔레콤, 사이버텔브릿지, 설악이앤씨)이 제2사업(강릉·정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KT는 1사업 입찰에서 SK텔레콤을 1.5479점차로 제쳤다. 가격 점수에서 근소하게 뒤졌지만 기술 점수에서 1.5점 이상 앞섰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경쟁한 2사업에서는 기술 점수는 비슷했지만 가격 점수가 2점 가까이 높은 SK텔레콤이 우선협상대상자로 낙점됐다.
KT와 SK텔레콤은 향후 7개월(210일) 동안 롱텀에벌루션(LTE) 기반 공공안전 LTE(PS-LTE) 구축·검증을 진행한다. 세계 처음으로 설치하는 전국망 단위 LTE 재난망이기 때문에 철저한 준비와 테스트가 필요하다.
KT가 진행할 제1사업에서는 응용시스템과 코어망 장비, 보안설비, 관제시스템을 포함한 운영센터가 구축된다. 기지국과 푸시투토크(PTT) 단말기는 1사업과 사업 지역 모두 공급한다. 전체 예산(약 420억원) 중 80%를 1사업에 투자하지만 기지국과 단말기는 2사업 지역에 더 많다. KT와 SK텔레콤 간 망 연동을 위한 유기적 협력이 요구된다.
시범사업자 최우선 임무는 PS-LTE 기술 검증이다. 여러 제조사 솔루션과 단말기, 기지국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호 연동에 문제가 없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직접통화(D2D) 등 아직 표준화되지 않은 기술(기능)은 대체 기술을 적용하고 향후 업그레이드도 대비해야 한다.
다른 핵심 과제는 재난망 셀 커버리지와 투입될 물량 산출이다. 시범사업에서는 전국에 재난망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지국과 단말기 수가 산출된다. 옥내에서도 안정적인 음성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망을 구축해야 한다. 해상망과 철도망 연동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무엇보다 여전히 끊이지 않는 재난망 부실 설계와 혈세낭비 논란을 종식시켜야 하는 역할이 시범사업자에 주어졌다. 일각에서 ISP 망 설계가 부실해 1조원 이상 혈세가 낭비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런 논란 때문에 내년 재난망 확산사업(본사업 1차연도) 예산 2777억원은 전액 목적예비비로 분류되며 사업 추진이 불투명해졌다.
업계는 정확한 셀 커버리지와 투입 물량을 산출하고 기술적 문제가 없음을 증명해 이런 논란을 잠재우는 게 KT와 SK텔레콤의 역할이라고 보고 있다. 재난망에 상용망이 아닌 자가망을 써야 하는 구체적 이유를 밝히는 것도 두 사업자가 해야 할 일이다.
<재난망 시범사업 개요(자료:안전처·업계종합)>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