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과학 심장부 대전에서 세계과학정상회의가 팡파르를 울렸다. 지난 1973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과학입국을 천명하며 세운 대덕연구단지에서다. 세계과학정상회의가 유럽을 떠나 한국에서, 그것도 대전으로 무대를 옮겨 열렸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참가국만 57개국, 12개 국제기구다. 과학 분야 장차관을 비롯해 노벨상 수상자 등 270여명이 참여했다. 지구온난화 등 인류 당면과제 해결방안을 논의한다.
과학정상회의는 그동안 IT강국으로만 알려졌던 한국의 기초과학을 세계 각국에 알릴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대가 크다. 창조경제를 국정지표로 삼은 박근혜정부 과학강국 위상을 강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전망된다.
정부는 과학정상회의를 우리 과학기술 우수성을 알리고 사업모델로 활용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글로벌 시장은 협업과 융합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제품은 국제표준으로 단일화되고 지구 반대편 협회·단체와 공동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의장국으로서 대한민국 미래부는 본회의에 이어 진행되는 분과회의에서 우리 과학기술 역량을 알릴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오픈 사이언스와 빅데이터 등 이슈는 현 정부가 가장 힘을 쏟고 있는 분야다. 세부논의 대상인 의료 분야는 ICT 강국인 우리나라 최대 장점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헬스케어 시장을 놓고 거대한 변화 물결이 일고 있다.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가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규제완화로 산업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1990년대부터 기초과학기술 정책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인 과학부흥에 나섰다. 조금씩 성과가 나타나지만 부족하다. 연구개발 투자율은 세계 1위지만 개발만 있고 연구는 없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는 과학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성과가 불투명하고 오랜 투자가 필요한 기초과학 분야 육성 의지를 되새겨야 한다. ‘창조’라는 화두는 단 하루에 이뤄지지 않는다. 수천만 번 실패를 바탕으로 완성된다. 그것이 기초과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