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시장 예상대로 10월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은 고용시장이 개선되고 물가가 2%까지 오를 것이라는 확신이 있을 때 금리를 올리겠다고 밝혔다. 연준의 동결은 글로벌 경기둔화를 방지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외화자금 유출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는 신흥국은 큰 한숨을 돌리게 됐다.
문제는 6주 후에 열리는 12월 정례회의다. 연준은 ‘다음 회의’라는 문구를 성명에 포함시켜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어느 때보다 명확히 했다. 재닛 옐런 연준의장 등 수뇌부 연내 인상 공언이 허언이 아님을 다시 한번 확인한 셈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국내 경제를 차분히 돌아볼 필요가 있다. 연준이 중국 경제위기 등 대외변수가 커 금리인상 시기를 조금 늦췄을 뿐 연내 올린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금리 인상이 내수에 미치는 파급력을 고려할 때 긴장의 고삐를 늦춰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정부는 우리 외환보유액이 넉넉한 만큼 지난 외환위기 때와 같은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자신한다. 외화유동성이 높으면 충격이 완화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잘 준비해서 나쁠 것은 없다.
우리 경제 뇌관은 113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다. 대출로 집을 구입한 서민들은 곧바로 폭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연간 급여보다 많은 대출을 받아 전세자금을 보탠 소비자 역시 어려움에 처할 수밖에 없다. 주목할 것은 정부가 가계부채를 줄이는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살아나지 않는 내수와 줄어드는 수출도 살펴야 한다. 우리 경제가 역대 최대의 외환보유액에도 불구하고 대외변수에 따른 환율 변동성이 크고 언제든 돌발변수가 등장할 수 있다는 점을 주시해야 한다. 연준 금리인상은 시기 문제일 뿐 올릴 수밖에 없다. 경제 기초체력을 더 튼튼히 하기 위한 산업구조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