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국가들이 모두 참여하는 신기후변화체제(포스트 2020) 수립에 청신호가 켜졌다.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86%를 차지하는 국가들이 유엔에 자발적 감축목표를 제시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은 100% 참여하고, 개도국도 70% 넘게 참여했다.
환경부는 오는 30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당사국총회(COP21)에 앞서 각국이 유엔 사무국에 제출한 자발적 감축기여 방안(INDC) 총량적 효과 종합보고서를 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1일 전에 INDC를 제출한 국가는 147개국으로 제출대상 선진국은 100%, 개도국은 70%가 참여했다. 이들이 제출한 비중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86%를 차지한다. 제출국가 중 84%는 기후변화 적응 부분까지 INDC에 포함했으며, 25%는 조건부 목표설정, 우리나라와 같이 배출전망치(BAU) 방식을 채택한 곳은 50%였다.
INDC에서 제시한 목표를 모두 달성할 경우 2030년 글로벌 총 배출량은 57기가톤이며, 이는 절대량으로 이전 감축목표 대비 5기가톤이 줄어든 양이다. 1인당 배출량으로 보면 1990년 대비 평균 9%가 줄어든다. 1990년, 2000년, 2010년과 비교해 글로벌 총배출량은 증가가 예상되지만 배출증가율이 1990~2010년에 비해 2010~2030년간 약 33% 둔화될 전망이다.
INDC가 모두 이행되더라도 2030년 글로벌 누적 배출량은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패널(IPCC)에서 제시한 탄소 예산 약 75%에 육박할 것으로 분석됐다. INDC 효과 반영 시 2011년 이후 글로벌 누적 배출량은 541기가톤(2025년), 748기가톤(2030년)에 도달할 전망이다.
따라서 산업혁명 이후 지구 온도 상승 2℃ 이하 억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2030년 이후 현행 INDC 수준을 능가하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필요할 전망이다.
환경부는 이전에는 정량화된 감축목표를 제출한 국가는 61개국이었으나, INDC 제출국 중 정량화된 감축목표 제출국가는 127개국으로 증가하는 등 감축참여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관련 정보 투명성이 향상됐고, 국가별 정책에서 기후변화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자적인 대응을 통해 기후변화 공동 대응을 위해 협력하고, 향후 감축 의욕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각국 의지도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지난 6월에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BAU 대비 37% 줄이겠다는 목표를 유엔에 제출했다.
INDC 제출국가와 배출비중
[자료:환경부]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