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센서 4강 진입…정부, 생태계 활성화 나서

정부가 2020년까지 총 1508억원을 투입, 10대 핵심센서를 개발한다. 센서 기업 인큐베이팅센터를 구축하고 센서 분야 우수 중소기업 인증제를 실시한다. 2025년 센서 산업 4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삼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서울 양재동 스포타임에서 ‘첨단센서 2025 포럼’ 발대식을 갖고 센서산업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센서는 사물인터넷, 스마트카, 웨어러블 디바이스 확산과 함께 신산업 분야 화두로 떠올랐다. 종전에는 단순 감지 기능에 국한됐으나 최근 융·복합 제품을 구현하는 핵심 부품으로 역할이 커졌다. 지난해 세계 센서 시장 규모는 703억달러에 달한다. 연 평균 9% 이상 고성장이 예상된다.

우리나라 센서 산업은 세계 시장 점유율 1.7%로 7위권이다. 미국(31.8%), 일본(18.3%), 독일(12.2%) 등이 주도한다. 기술력은 선진국 65% 수준이다. 제조기업과 수요기업 간 연계가 미흡해 생태계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전문 인력 확보도 어렵다.

<세계 센서시장 국가별 점유율>
<세계 센서시장 국가별 점유율>

정부는 센서 산업 생태계를 개선해 2025년 세계 4위권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산업부는 영상·압력·레이더·적외선·바이오센서 등 10대 핵심 센서를 개발한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센서 연구개발(R&D)에 1508억원을 투입한다. 내년 예산(안)은 154억원이다.

중소·벤처기업이 입주해 기술 개발과 시험 생산 등을 할 수 있는 센서 기업 인큐베이팅센터를 구축한다.

대학원에는 센서 산학협력 과정을 개설한다. 현재 경북대 한 곳에서 진행 중인 센서 전문 인력 양성사업을 두세 곳으로 확대 실시한다. 올 초 센서 기업 56개사 대상 조사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된 기술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센서 분야 우수 중소기업 인증제 도입을 추진한다. 중소기업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기업에 비해 전문 인력 확보가 어렵다. 정부는 경쟁력을 갖춘 센서 전문기업을 지정해 우수 인력을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증작업을 정부가 주도할지, 민간에 위탁할지 등 구체적 운영방안은 추후 검토한다.

이날 발족한 첨단센서포럼이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에 초점을 맞춘 산학연관 협의체 구성은 처음이다.

포럼에는 산업부를 비롯해 삼성·LG·SK텔레콤·현대오트론·아이에스테크놀로지·삼영S&C 등 대중소기업,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전자부품연구원·KAIST 등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했다. 박일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과 전국진 서울대 교수가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스마트기기, 자동차, 사물인터넷(IoT)·웨어러블, 산업용·스마트공장 4개 분과로 운영한다.

박일준 실장은 “포럼이 센서산업 정보와 기술이 흐르는 심장 역할을 할 것”이라며 “정부가 센서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