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가 해외 가스 직도입 관련 굳게 닫혔던 문을 전향적으로 풀고 있다. 그간 발전사업자 가스 직도입을 원칙적인 선에서만 허용해왔다면, 이젠 이를 장려하고 지원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7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지난 7월 이승훈 사장 취임 후 직도입 관련 발전사와 협력 관계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10월에는 현대산업개발과 설비 관련 지원 협력을 체결했으며, 지난달에는 포스코에너지와 직도입 부문에서 포괄적 협력을 약속했다.
가스공사의 이 같은 행보는 지금까지 가스 도입 정책과는 180도 달라진 모습이다. 발전사업자들이 직접 해외에서 가스를 구매해 사용하는 직도입은 가스공사엔 금기와도 같은 행위였다.
직도입하는 사업자가 늘어날수록 가스공사 점유율은 줄고, 우리나라 전체 가스수급을 챙겨야 하는 입장에서 변수도 많아지기 때문이다. 직도입으로 수익성이 높았던 SK E&S 등 일부 사업자들과 수입가격 비교 대상이 되는 것도 부담이었다.
이런 이유로 직도입에 관해 가스공사 대응은 친절하지 못한 것을 넘어 불만덩어리 요소였다. 지금도 발전사업자가 가스를 직도입하려면 자가소비만 가능하고 남은 물량은 해외로만 팔 수 있는 등 제약조건이 많다. 직도입 허용과 배관 등 관련 시설 사용에 대해서도 국가 전체 수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품질만 맞춘다면 가능하다는 원칙적 자세를 견지해왔다.
발전업계는 가스공사가 직도입에 대한 정책 방향을 수용 쪽으로 선회한 것에 일단 기대를 더 많이 갖는 분위기다. 미국 셰일가스 등 세계적으로 직도입 요구를 더 이상 막을 수 없는 만큼 선제적으로 발전사와 협력해 직도입 시장을 준비하려 한다는 긍정적 평가도 그래서 나온다.
포스코에너지 사례가 대표적이다. 포스코에너지는 민간발전사 중 직도입 원칙만 정하고 아직 구체적 도입 계획은 세우지 않은 곳이다. 가스공사 입장에선 포스코에너지가 수입원을 물색하는 단계부터 함께해 도입 시기와 물량 등을 조율하면, 향후 국가 가스수급과 설비 사용 관련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포스코에너지 역시 직도입 계약단계에 가스공사의 협상력을 지원받을 수 있어 이득이다.
발전업계는 직도입에 관한 가스공사의 전향적 정책 변화 기류가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발전공기업을 포함한 다수 발전사가 직도입을 하고 있고, 셰일가스 이슈로 관련 도입 채널은 다양화 기조를 되돌리기 힘들어졌다.
이승훈 가스공사 사장 경영스타일도 관심을 끄는 요인이다. 이 사장은 과거 전력산업 구조개편 작업 당시부터 대표적 에너지시장 개방주의자로 잘 알려져 있다.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시절에는 셰일가스와 관련 직도입 시스템에 대한 대응을 주장하기도 했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발전사의 직도입이 늘어나면서 가스공사 새로운 역할 찾기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 상황으로는 과거보다 직도입에 대한 가스공사의 자세가 많이 유연해진 것만큼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