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그리드 기술, 내년부터 국제기금 활용 해외진출 속도

10일 에너지자립형 마이크로그리드 해외 확산 포럼 참석자들이 토론을 마친 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10일 에너지자립형 마이크로그리드 해외 확산 포럼 참석자들이 토론을 마친 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다자간개발은행(MDB), 녹색기후기금(GCF) 등 국제기금을 활용한 마이크로그리드 수출이 궤도에 오른다. 우리 정부는 GCF 사업으로 승인된 페루 프로젝트에 마이크로그리드 관련 설비 수출을 시작으로 국제기금 원조 사업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본지 12월 7일자 19면 참조

녹색기술센터(GTC)와 삼정KPMG는 10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마이크로그리드 해외확산 최종 포럼’을 열고 마이크로그리드 기술 현황과 향후 국제기금 활용 방안에 관해 집중 논의했다. 이날 포럼은 정부 마이크로그리드 수출확대 정책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결과 보고회 형식으로 이뤄졌다.

정부는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구축에 적용된 한국형 마이크로그리드 모델을 국제기금 원조를 받는 개도국 개발 프로젝트에 집중적으로 수출할 계획이다. GCF와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국제기구도 개도국 에너지 문제 해결 방법으로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가파도, 울릉도 에너지자립섬과 서울대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 등 여러 실증 사업 경험을 확보한 만큼, 유리한 입장에서 개도국에 사업 참여를 제안할 수 있다. 특히 아마존 지역 습지 원주민 기후변화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페루사업(GCF 승인)에는 우리가 태양광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공급할 예정이어서 이를 기점으로 한 추가 수출까지 기대된다.

이옥수 삼정KPMG 팀장은 말리 지방 전력화 하이브리드시스템 사업(WB 진행), 몰디브 외부도서 신재생에너지 개발 프로젝트 준비사업(ADB 진행) 등도 마이크로그리드 모델을 적용할 수 있은 유망 프로젝트로 들었다.

포럼 참석 전문가는 마이크로그리드 해외 확산에 필요한 조건으로 정부와 공동으로 국제기금 활용방안을 마련할 것과 개도국 개발 관련 정보공유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분산전원, 에너지저장, 소비관리 등 관련 기술을 충분히 갖춰져 있지만 기업 스스로 국제기금을 활용한 경험이 적은 만큼 정부차원의 가이드라인 설정과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진출 개도국 관련 정치·경제적 리스크 정보 공유와 시기별 전략 국가 선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문승일 기초전력연구원장은 “세계에는 수많은 에너지 섬이 퍼져있다”며 “선진국과 개도국, 시장과 나라에 따른 다른 기술과 다른 전략으로 내년부터 성장할 마이크로그리드 시장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