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곱씹게 되는 ‘파리협정’ 의미

[기자수첩]곱씹게 되는 ‘파리협정’ 의미

지난 주말 프랑스 파리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1)는 지구촌 195개국이 모두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겠다는 ‘파리 협정’을 맺고 막을 내렸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기후변화협상 테이블에 앉은 각국은 경제상황, 산업구조, 정치형태 등 천차만별의 사정을 갖고 있다. 성장이 멈춘 선진국은 신기후체제 수립을 통한 저탄소경제를 주도하려고 하고, 지구온난화로 수몰 위기에 몰린 섬나라는 필사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할 것을 호소한다.

경제 여건이 어려운 국가는 기후변화협상을 통해 선진국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으려 목소리를 높였고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판매하는 국가는 나름 방어 논리를 폈다. 다양한 요구를 담아야 하는 만큼 이번 협상도 난관의 연속이었다.

그래도 파리협정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지구온난화를 더는 방치할 수 없다는 위기감과 세계 각국이 조금씩 ‘양보’하더라도 신기후체제를 수립해야 한다는 염원이 모였기 때문이다.

선진국으로선 부담은 되지만 기후기금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고, 개도국은 비용이 들어도 저탄소 경제성장을 추구하고 할 수 있는 만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겠다고 양보했다.

극빈국도 기후변화협상을 경제지원금 수단으로만 여기지 않고 어느 정도 선까지 양보했으며, 기후변화로 위기에 처한 국가조차 자국 상황만 고집하지 않고 주변국 노력을 수용하는 면모를 보였다. 우리나라 역시 배출전망치 대비 37%라는 벅찬 목표를 제시하며 힘들더라도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이렇게 조금씩 양보해서 만들어진 것이 ‘파리협정’이다. 195개 당사국 중 아무도 반대하지 않았다는 것 자체가 기적이다. 이를 두고 ‘반쪽의 성공’이니, ‘유명무실’이라느니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온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파리협정은 지성을 가진 인류가 기후재앙에 맞서기 위해 만들어 낸 가장 큰 성공 출발점으로 기록될 것이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