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 종식은 더 앞당겨질 것이다. 에너지시대 혁명적 전환이 일어나고 부존자원 부재가 더 이상 제약요건이 되지 않을 것이다.”
지난 12일(현지시각) 파리 신(新)기후체제 선언 이후 우리나라가 겪어 온 자원빈국 설움을 기술로 극복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열린 제183차 원자력계 조찬강연회에서 박주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은 신기후체제로 온실가스 감축 요구가 더 거세질 것으로 내다봤다. 파리 선언에서 2℃ 보다 낮은 1.5℃ 이하로 온도상승을 막자는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각국이 낸 자발적 감축목표(INDC)로는 이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세계적 요구에 따라 화석연료시대 종식이 예상보다 떠 빨리 올 수 있다는 진단도 덧붙였다.
우리나라가 선택해야 할 주요 감축 수단으론 에너지 전환을 꼽았다. 다른 국가와 달리 산업부문에서 감축할 수 있는 여지가 크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자체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박 원장은 “제철산업을 봐도 우리 제조업 분야 에너지 효율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산업에서 조업과 설비 조정으론 개선 여지가 없어 에너지 내에서 감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에너지 자체에서 해법은 원자력과 에너지신산업을 꼽았다. 부존자원 부재를 한탄만 하지 않고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등 새로운 자원에 투자했던 노력이 빛을 발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까지는 석탄과 석유 등 국토에 매장된 자원이 에너지였다면 앞으로는 새로운 에너지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에너지로 평가받게 될 것이란 설명이다.
원전은 사회적 합의 등 넘어야 할 산이 있지만 일본조차 20~22% 원전 전원구성을 전제로 감축목표를 설정했기 때문에 모든 나라의 불가피한 선택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나라도 석탄을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환하려면 드는 비용에 사회적 합의 여부가 불투명하고, 신재생 자원도 부족하기 때문에 원전 역할이 여전히 크다고 봤다. 에너지신산업은 원전과 글로벌 배출권 시장 거래로 채우지 못하는 부분을 담당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 원장은 “모든 분야 도약에는 새로운 기술 개발과 적용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부존자원이 없는 설움에서 키워 온 에너지신산업 기술이 앞으로 온실가스 감축의 획기적 도약을 이루는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