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단체들은 올해 민관이 힘을 합쳐 가장 잘한 일로 경제외교 사업을 꼽는다. 올해 박근혜 대통령은 해외순방에 중견·중소기업을 동반해 대외 경제활동을 지원했다.
정부가 경제외교 최전선에 서는 것은 낯선 일이 아니다. 이른바 ‘비즈니스 외교’는 국가 단위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활발히 일어난다.
기자가 만난 한 중소 이러닝기업 대표도 정부 공신력이 필요한 교육 인프라 사업에 정상외교 효과를 봤다고 말했다. 민간 기업이 만나기 힘든 현지 정부부처 수장이나 기관 대표도 경제사절단 일원이면 수월하게 만날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대통령 의지가 정부 부처 말단까지 이어지지 않는 모양새다. 최근 또 다른 신흥국을 방문했던 이러닝 기업은 교육부와 산업부에 정부 차원 정부개발원조(ODA)사업을 위한 양해각서(MOU) 교환이나 지원을 문의했다. 그러나 각각 신흥국 정치불안이나 소관 업무가 아니라는 이유로 적극 추진하기 힘들다는 답변을 받았다. 조심스럽다는 것이다.
우리가 주저하는 동안 경쟁국가는 가깝게는 아세안, 멀게는 아프리카를 안방처럼 드나들며 ODA사업으로 사업진출 기반을 닦고 있다.
실제 중국과 일본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반둥 고속철 사업에서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였고 결국 사업은 중국에 돌아갔다. 일본은 아베 총리가 직접 인도네시아를 전략적 동반자로 생각한다며 추가 인프라 사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개막식에서 70조원 지원을 약속했다.
정상외교성과를 확산하려면 순방국 위주 단순 사절단 동행에서 끝나서는 안 된다. 성과를 내려면 무엇보다 정부부처 및 기관의 적극 협력이 필요하다. ODA는 외교부만의 일이 아니다. 이러닝은 경제 관련 담당부처인 산업부, 교육 인프라 사업은 교육부 협력이 필요하다.
새해에는 정부가 기업과 함께 해외 진출을 좀 더 전략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기대한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