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한·미 우주협력, 기술 자문만으론 안된다

우리나라는 언제쯤 달에 무인 우주선을 보낼 수 있을까.

미래창조과학부는 제22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어 ‘달 탐사 1단계 개발 계획안’을 의결했다. 달 탐사 사업은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우주기술 자립으로 우주강국 실현’과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2014~2040년)’에 따라 추진하는 우주개발 사업이다.

새해부터 2018년까지 진행되는 1단계 사업은 시험용 달 궤도선을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협력해 발사한다. 2단계 사업(2018~2020년)은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자력 개발하고 한국형 발사체를 활용해 발사하는 게 목표다.

세계에서 달 탐사를 가장 먼저 시도한 나라는 러시아(옛 소련)다. 러시아는 1959년 달 근접비행 성공을 시작으로, 1966년 달 표면 연착륙, 1970년 흙 샘플 채취 등 달과 관련된 세계 최초의 역사를 써내려왔다. 유인우주선을 처음 발사한 것도 러시아였다. 미국은 러시아에 늦었지만 막대한 자금을 투입, 우주인 12명을 달 표면에 보내면서 우주정책 주도권을 가져왔다.

미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는 달 탐사에 대해 이제 겨우 걸음마를 뗀 상태다. 유인 우주선은 물론 무인 우주선을 보낸 나라조차 손에 꼽을 정도다. 미·러를 제외하고 달에 궤도선을 보낸 국가는 유럽·일본·중국·인도 4개국이다. 이미 발사체를 보유한 나라를 제외하고 그나마 달 탐사 프로젝트를 현실성 있게 추진하는 나라는 의외로 한국뿐이다. 현 1단계 사업만 성공해도 우리는 달에 무언가를 쏘아 올린 세계 7번째 나라가 된다.

달 탐사는 우주로 가려는 첫걸음이다. 이런 거대 프로젝트 진행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성공적인 탐사가 되려면 산학연 공조와 함께 국제협력이 필수다. 달 탐사 국제협력은 지난 10월 박 대통령이 미국 고다드 우주센터 방문으로 본격 점화됐다.

정부는 NASA와 기술협력을 추진한다고 했다. NASA에서 달 탐사 관련 기술 검증 및 자문 지원이 골자다. 처음 시도하는 달 탐사 시행착오를 줄이고 기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기술이전 없이 기술자문만으로 달 탐사 사업이 성공할 지는 의문이다. 기술협력은 기술이전이 전제돼야 함을 KF-X사업이 가르쳐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