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무선통신을 위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철도통합망(LTE-R)’이 중복 개발 논란에 휩싸였다.
철도기술연구원이 도시철도(지하철)용으로 개발한 1단계 LTE-R을 철도시설공단이 일반·고속 철도용으로 다시 개발하면서 비용과 예산 낭비 논란이 불거졌다. 철도시설공단은 1단계 결과물에 기반을 두고 업그레이드한 것으로 중복 개발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산하 철도관련 기관 관계자가 충북 모처에서 ‘원시~소사 복선전철 민간 투자 시설사업’에 쓰일 LTE-R 기술 논의를 진행했다. 철도시설공단이 개발하는 2단계(일반·고속철도) LTE-R 기술을 도입하는 게 적합한지 논의했다. 철도기술연구원이 개발한 1단계 LTE-R와 부산교통공사가 1호선에 구축 중인 LTE-R, 철도시설공단 LTE-R 표준 등을 비교했다.
철도시설공단은 2014년부터 LTE-R 2단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철도기술연구원이 개발한 1단계 LTE-R은 도시철도용으로 시속 150㎞ 수준에 맞춰져 있고 사용한 주파수 역시 시험용으로 수정할 게 많다는 판단에서다. 일반·고속철도는 도시철도와 통신 요구사항이 달라 다시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학선 철도시설공단 단장은 “LTE-R 1단계에서는 단순한 기능이나 시스템 요구 사항만 있었기 때문에 단말이나 장치별로 추가 개발해야 할 게 많다”며 “300㎞대 고속철도 상황을 고려한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1단계 기술에 기반을 두고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복 개발이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게 아니라고 강조했다.
철도시설공단은 호남고속철도 일부 구간에 2단계 LTE-R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있다. 설 이전에 완료하고 이후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시험 구간에서는 시속 300㎞ 이상 속도에서 LTE-R를 테스트한다.
철도기술연구원 주장은 이와 다르다. 1단계 LTE-R는 시속 500㎞를 표준으로 삼아 개발된 기술로 테스트가 150㎞까지 완료된 것일 뿐이라는 설명이다. 철도시설공단이 1단계에 기반을 두고 개발한다고 주장하지만 코어 장비를 비롯해 1단계 기술을 이전·활용한 게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철도기술연구원 관계자는 “1단계 LTE-R를 모듈만 바꿔주면 2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철도시설공단은 비용을 들여 기술을 다시 개발하고 있다”며 “지난해 12월 2단계 LTE-R가 TTA 정식표준이 아닌 잠정표준으로 정해진 것은 이 기술에 문제가 있다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두 기관이 첨예한 대립을 펼치고 있어 LTE-R 2단계 상용화에는 당분간 잡음이 이어질 전망이다. 철도시설공단은 2단계 LTE-R를 2017년 말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