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 미래 먹거리로 각광받는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제도와 유저인터페이스 정비 작업이 전 세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누가 공략층이 되어야 하며, 기능은 어디까지 허용하고 만약의 사태에 누가 책임을 질 것인가에 관한 것이 골자다. 그동안 정부 정책과 업계 연구개발(R&D)은 자율주행 기술을 어떻게 완벽하게 개발해 낼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이를 어떻게 활용 및 규제할 것인가까지 접근이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해 말 미국 캘리포니아 교통당국(DMV)이 자율주행 자동차 규제 초안을 발표했으며 국내에서도 조만간 정책 연구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자동차 업체들은 소비자들이 어떤 자율주행 자동차를 원하고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DMV가 공개한 자율주행 자동차 규제안은 반드시 운전자가 있어야 하고 개인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판매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하고 소비자에게 직접적 책임이 돌아가는 것을 줄이기 위해 렌털이나 서비스 형태로 차를 빌려주고 과금하도록 했다. 하지만 무인자동차를 개발 중인 구글은 미 교통당국(NHTSA)에 공개적으로 문의해 이달 초 자율주행 시스템 자체가 운전자로 고려될 수 있다는 답을 얻어냈다. DMV가 규제안 개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도 관련 정책 연구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산업부는 지난 17일 자동차융합얼라이언스 발전전략 포럼에서 정책 분과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분과가 설립되면 보험회사 등 자율주행과 연관이 있는 관계자들과 함께 향후 규제와 진흥 정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자동차 기업들의 연구도 폭넓어지고 있다. 그동안 기술과 기능 위주 R&D가 주를 이뤘으나, 사용자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고 있다.
포드는 올 해부터 2020년까지 45억 달러(약 5조 6000억원)를 전자화된 자동차 솔루션과 미래 자동차 UX를 개발하는 데 투자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이는 사람들이 자동차와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 등 사회과학 기반 전략 연구를 포함한다. 특히 올 해에는 지난 해 대비 민족지학 조사(ethnographic research)를 두배로 늘릴 계획이다. 자율주행 자동차를 비롯한 미래 자동차를 어떤 사람들이 요구하고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도 포함될 전망이다.
재규어·랜드로바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너무 ‘로봇’스럽다며 어떻게 해야 가장 인간적인 운전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외 영국 사설 연구기관을 포함한 컨소시엄이 이와 관련된 연구에 착수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완벽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율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어떤 규제하에 어떤 목적을 위해 사용될 것인가도 명확해야 한다”며 “해외에서는 이제 이런 연구가 본격화된 만큼 국내에서도 기술 진흥은 물론 사회학적 연구까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보경 자동차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