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구글 본사를 방문,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을 체험했다. 아이디어를 공유할 때 더 크고 훌륭한 결과물이 나온다는 게 강연 핵심이다. `내 아이디어를 보여 주는 데 두려워하지 마라`, `상대 생각을 무시하지 말고 아이디어를 첨가해 더욱 키워 줘라` 등 얘기가 나왔다. 자유로운 소통은 자율주행자동차, 구글 글라스 등 혁신 제품으로 이어진다. 자기 분야가 아닌 일에도 전체 업무 시간 20%를 쓸 수 있다는 80대20 법칙도 흥미롭다. 혁신·창의성 프로그램 총괄이라는 직책이 신규 입사자 대상으로 진행하는 교육도 이와 유사하다.
국내 정보기술(IT)업계에서도 아이디어 공유를 통한 혁신 시도가 이어진다. 네이버도 최근 엔지니어링 데이를 개최, 구성원끼리 아이디어를 함께하는 자리를 가졌다. 모바일부터 서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최신 기술을 공유했다. 더 나은 아이디어 발굴과 성장 발판으로 만들겠다는 게 취지다. 카카오도 구글처럼 매주 구성원이 한자리에 모여 리더와 자유롭게 의견을 교류,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공유와 소통, 집단지성을 통한 혁신은 새로운 게 아니다. 전문가와 비전문가 영역을 나누기보다 협력으로 시너지를 내는 것은 이제 흔한 일이다. 인텔이 지난 2000년대 초 하나의 중앙처립장치(CPU)에 2개 프로세서를 심은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개발한 것도 한 트럭 운전기사로부터 영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인텔은 CPU칩 성능을 대폭 향상시켜 부진 탈출 발판을 마련했다.
혁신 사례를 볼 때마다 정부 3.0이 걱정스럽다. 정부는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개방, 공유, 소통, 협력으로 국민 개개인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부처마다 정부3.0 우수 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장관이나 기관장 취임 때마다 `칸막이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하지만 `보여주기식` 사례라는 비판이 나온다. 외부에서 보는 부처 간 장벽은 여전히 높다. 국민 반응도 회의적이다. 정부는 IT 기업 공유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오대석기자 od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