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차게 박차고 나아가야 할 이 봄에 중소기업계는 `춘래불춘래`를 실감한다. 저성장 터널이 길어지면서 일감과 매출이 줄고 대기업과의 격차는 더욱 커졌다. 대·중소기업 격차가 벌어지고 가계 격차도 심화되면서 요즘 회자되는 경제 민주화 실현은 더욱 어려워진 느낌이 강하다.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로서 중소기업 위기의 배경 근본은 `사람`, 즉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재 확보의 어려움에서 찾을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위기의 해결 방안이 `사람`에 있다.
50년 산업 역사 동안 수차례 정권이 바뀌고 경제 위기가 닥쳤다. 그때마다 중소기업 인재 양성에 정부와 교육계, 산업연구기관에서 많은 정책과 수단을 제시했다. 하지만 중소기업계는 인재난으로 좀처럼 생산성 향상 등 경영 성과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중소기업 인력 현황과 문제점을 통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전체 종사자 1534만명 가운데 중소기업 종사자 수는 1342만명으로 87.5%(2013년)를 차지하고 있다. 연평균 고졸 이상 졸업생 117만명 가운데 40만명(34%)이 취업하고, 이 가운데 18만명이 중소기업에 유입(2013~2014년)됐다. 중소기업과 청년층의 미스매치로 인해 중소기업은 매년 24만명 이상 인력이 부족하다. 중소기업 취업 희망청년은 6%, 재직기간도 3년 미만이 36.3%에 이른다. 2015년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62%로, 2008년 이후 가장 크게 벌어졌다. 해마다 임금상승률 격차가 커지는 것은 더 큰 문제다.
문제의 원인은 중소기업이 고질화된 인력난 해소와 청년일자리 미스매치를 극복할 수 있는 인재 확보 독자 플랫폼이 없기 때문이다. 세계가 한 시장으로 됨으로써 시공의 경계가 없어졌다. 중소기업도 스스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국제 안목을 갖춘 수출 전문가를 길러 내지 않으면 글로벌 시장에서 발붙일 수가 없다. 경쟁력 있는 명품 기업이 되느냐 하청 업체로 머물고 말 것이냐도 여기서 결정 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인력 수급·보상·인식에 대한 미스매치 해소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기업은 인력난 해소 독자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청년 구직자는 기업이 원하는 자질을 갖춤으로써 중소기업 인력난이 해소될 수 있는 실천 전략이 필요할 때다.
정부가 지난 2013년에 `중소기업,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를 주제로 중소기업 인력난 실태를 조사한 적이 있다. 정부, 대기업, 학교, 취업자, 중소기업으로 나누어 중소기업 인재난 해소 방안도 내놨다. 첫 번째 정부 몫으로는 지역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고용정책 추진, 교육·훈련시스템 마련, 산·학 연계 지원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대기업은 대·중소기업 근로자 공동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 지원, 인력 유출 자제, 기업학교 설립으로 양성한 인재를 중소기업에 보급하는 도우미 역할을 강조했다. 학교는 산·학 협력 교육 강화, 중소기업 취업 진로 지도, 선취업·후진학 확대를 실시하고 취업자는 기업 업무에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 보유,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 개선과 도전정신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중소기업은 급여 수준 인상, 복지 향상, 직업 환경 개선 인센티브 확대가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정부와 각 경제 주체는 이미 청년 실업과 인력 미스매치 현상을 최우선 해결 과제로 보고 있다.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지원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에는 지금이 인재 확보의 호기다.
중소기업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인재 확보 사업을 보면 중소기업 요구가 가장 많은 인센티브(보상) 지원 사업, 선취업·후진학 중소기업 관련 학과 지원 사업, 핵심 인력 성과보상 제도를 활용한 사업주 세액 감면과 근로자 우대금리 혜택, 인재양성형 중소기업 지정 제도, 노사 파트너십과 기업문화 지원 사업, 지역 간 유입 역량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조건부 예산지원 정책과 사업, 연구개발(R&D) 인력 급여 지원 등이 있다. 여러 가지 인재지원 사업을 찾아 꾸준히 참여하고 전개하면 분명히 인재 확보에 많은 도움이 된다. 이와 더불어 좋은 인력을 만나기 위해 기업간상거래(B2B) 사업 위주의 중소기업은 기업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관심을 끌기보다 대학을 방문해 우리 기업의 이미지와 핵심 가치를 홍보하거나 채용 공고부터 부문별, 개인별 직원 역할, 직무(능력)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드러내야 한다. 기업과 인력 정보가 양방향으로 공유돼 인력이 기업에서 해야 할 일인지 할 수 있는 일인지 명쾌한 판단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정보 접근성을 높인다면 어느 순간 우리 중소기업도 최상의 명품기업, 아름답고 스피디한 최상의 팀을 좋은 인재로 리빌딩할 수 있다.
이재광 광명전기 회장 jklee@kme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