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을 모르고 추락하던 수출이 되살아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중소기업청이 발표한 2월 중소·중견기업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6% 증가했다. 지난해 6월 이후 8개월 만의 반등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3월 우리나라 전체 수출 감소율은 -8.2%다. 15개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지만 한 자릿수 감소폭은 4개월 만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 저유가, 주력산업 부진 등 악영향이 있지만 선전한 셈이다.
1분기 우리나라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사상 최대치를 보인 지난해보다 20% 가까이 급증했다. 외국인 투자는 수출 증대, 산업구조 고도화, 국내 인프라 확충을 중심으로 이뤄져 경제 회복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 밖에도 2월 전체 산업 생산은 전월보다 소폭 증가했다. 3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제조업 업황도 호전됐다. 3월 소비자심리지수(CSI)는 지난달보다 2포인트 높아졌다.
물론 아직도 소비와 기업투자는 얼어 있고, 수출은 여전히 부진하다. 중국의 경제 둔화, 일본경제의 저성장 지속, 자원 부국의 불안한 경제 상황 등 글로벌 경제 전망은 안갯속이다. 하지만 여러 경기지표에서 경제 회복의 청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아직은 기대에 못미치는 경기지표이지만 경제 회복의 불씨로 삼을 필요가 있다. 경기 관련 지표는 한두 달 기록으로 개선됐다고 판단하기 힘들다. 최소한 분기 이상 개선된 지표가 나와야 한다. 개선된 경기지표를 기대하려면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소비와 투자를 늘려야 경제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투자와 소비가 확대되면 고용이 증가한다. 고용이 늘면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는 `성장의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다. 정부는 규제를 풀어 기업 투자를 촉진시키고, 부양책을 통해 소비를 진작시켜야 한다. 그렇다고 양적 완화와 같은 단기 부양책은 휴유증이 염려된다. 자칫 소비를 촉진시키려다 부작용만 초래할 수도 있다.
단기간에 경기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구조 개혁 등 경제 체질 개선을 서두를 때다. 오랜만에 좋아진 경기지표를 경제 회복 `새싹의 기운`으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