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에너지신산업이 새로운 성장엔진이 되려면

한국전력이 에너지신산업 분야에 뭉칫돈을 넣는다. 전력신산업펀드 조성과 전기차 충전인프라, 원격검침인프라(AMI) 등에 수조원을 투입한다,

한전은 최근 열린 한 포럼에서 전력분야 10대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개발과 시장수요 창출, 기업경쟁력 제고에 힘써 에너지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요즘 포럼이나 콘퍼런스 등 에너지와 관련된 행사는 온통 에너지신산업이 화두다. 공학한림원 `에너지포럼`이나 에너지미래포럼 등 전통을 가지고 있는 포럼뿐만 아니라 단발성 행사 주제도 대부분이 에너지신산업이다.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관심이 한층 고조되는 모양새다.

정부는 에너지신산업 확산 전략을 수립해 에너지 솔루션 시스템 분야에서 2030년 세계 1위를 목표로 삼았다. 이를 통해 100조원의 신시장을 창출하고 50만개 일자리를 새로 만들기로 했다. 민간기업 해외 진출에도 팔을 걷기로 했다. 에너지신산업 육성에 강력한 의지를 보인 셈이다.

하지만 장밋빛 청사진을 보여줬다고 현실이 되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에너지신산업 육성정책은 여러 난관을 이겨내지 않고는 달콤한 결실을 맺을 수 없는 게 현실이다. 2005년 전력IT나 2007년 스마트그리드 정책 사례가 가르쳐준 교훈이다.

2030년을 목표로 삼은 중장기 정책이다 보니, 세부 분야별 밸류는 추진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다. 신산업화의 유효성도 무너질 수 있다. 이를 간과했다간 마라톤 결승선에 도달하기 전에 완주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다. 끊임없이 현장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현실을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는 얘기다.

철강, 조선 등 주력산업은 수십년간 우리 경제를 지탱해왔다. 이제는 신성장동력 발굴이 절실한 시점이다. 에너지신산업이 새로운 성장엔진이 되려면 정부의 의욕만으론 한계가 있다. 신기술과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비즈니스로 연결시켜야 한다. 신산업화의 시선은 애초에 해외 수출시장을 겨냥해야 성공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