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기는 전력기준가격, 전력시장 `골병`]경영난 민간발전업계, 시장 제도 개선 목소리 높다

GS EPS 당진발전소 전경
GS EPS 당진발전소 전경

민간발전, 집단에너지 등 전력을 생산하는 민간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 일로를 보이고 있다. 수익성 제1 지표인 전력도매가격(SMP)가 지속 하락하면서 반등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다. 업계는 현재 변동비반영(CBP) 체제 아래에서는 대다수 사업자 경영난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고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장기 불황에 허덕이는 민간발전업계

지난 1분기의 주요 민간 발전사 영업이익은 줄줄이 하락했다. 6개 민간발전사의 1분기 영업이익은 10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했다. 포스코에너지의 영업이익은 310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58.2%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SK E&S도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대비 76.8% 급감했다. 포천파워도 영업이익이 71.7% 감소했다. GS EPS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33.8%나 줄어드는 등 업계 전반에 실적 악화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지난해도 상황은 비슷했다. 지난해 포스코에너지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9099억원, 1134억원이다. 전력기준가격(SMP)의 하락으로 매출은 전년 대비 24.6% 줄어든 반면에 영업이익은 8.7% 상승했다. 하지만 신규 발전기가 대거 가동된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전년 대비 마이너스 성장이나 다름없다. SK E&S의 지난해 발전사업 부문 영업이익은 1425억원으로 전년 대비 54.1% 줄었고, GS EPS는 487억원 영업이익을 올려 제자리에 머물렀다.

집단에너지 업계의 부진도 심각하다. 지난해 총 35개 집단에너지사업자 가운데 22곳이 적자를 냈다.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열병합발전 분야에선 28개 사업자 가운데 18개 기업이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주 연료로 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민간 기업은 너 나 할 것 없이 죄다 부진의 늪에 빠진 셈이다. 이유는 LNG발전 단가가 다른 발전원 대비 높은 데다 발전 기회마저 제한된 상황이 연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1분기 발전원별 전력 생산가격은 ㎾h당 원자력 5원대, 유연탄 30원대, LNG 90원대 정도다. 1분기 전력도매가격(SMP)이 ㎾h당 70~80원을 오간 것을 감안하면 전력을 판매해도 높은 수익을 남기기 어려웠다.

더욱이 LNG발전 가동률은 올해 1분기에 40%대로 떨어졌다. 설비의 절반 이상이 놀면서 경영난은 가중되고 있다. 집단에너지 업계도 열 공급을 위해 불가피하게 전력을 생산해도 정산대금이 원가보다 낮기 때문에 설비를 가동할수록 손실 폭이 커지고 있다. 전력 시장이 연료비 가격에 따라 가동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전력 생산 비용이 좀 더 비싼 열병합설비 수익성이 더 떨어지는 구조다.

GS EPS 당진발전소 전경
GS EPS 당진발전소 전경

◇높아지는 시장제도 개선 목소리

업계는 경영난의 근원으로 변동비반영전력시장(CBP) 체제를 지목했다. 우리나라는 연료비를 기준으로 보전해 주는 변동비반영시장(CBP) 체제를 도입,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연료부터 발전기를 돌리는 경제급전 방식을 채택했다.

지난 2001년 전력산업 구조 개편 당시 양방향경쟁입찰 제도로의 전환을 앞두고 특정 사업자의 지배력을 완화하고 연료비 경쟁을 통한 효율성을 높인다는 취지였다. 양방향경쟁입찰 제도는 발전·판매 사업자 모두 입찰에 참가해 전력도매 가격을 결정하는 제도로, 다수 판매사업자가 존재해야 운영할 수 있다.

애초에 단기 운영을 목표로 도입한 CBP제도가 15년 이상 유지되는 사이에 민간 발전사가 시장에 대거 진입하면서 부작용이 일기 시작했다. 정부는 발전설비 도입에 있어선 원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지만 정산 시장에서는 오직 연료비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가장 낮은 가격에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가 우대받기 때문에 원전과 석탄발전소 가동률은 지속되고, LNG발전소는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전력 예비율에 따라 가동이 결정되는 첨두부하인 LNG발전소는 최근처럼 전력 공급이 충분한 상황에서는 급전 지시를 거의 받지 못한다. 현물시장만 존재하므로 전력 수급 환경 변화에 따라 도매가격(SMP)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발전사와 판매사업자 모두 부담이 커지는 부작용을 안고 있다.

정산 기준으로 보면 원전, 석탄, 신재생, 발전공기업의 LNG 발전소는 모두 정산조정계수,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등 보조 정산 수단을 도입해 지원에 나서고 있다. 오로지 민간 LNG와 유류 발전소만 시장가격만으로 정산하고 있어 업계 불만이 더해졌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 관점에서 CBP 개선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배출전망(BAU) 대비 온실가스 37%로 감축한다는 목표다. 발전 부문에서 약 1억톤을 줄여야 하는데 절반에 이르는 5000만톤을 연료 전환으로 이룬다는 계획을 세웠다. 석탄화력발전소를 LNG로 대체하는 것이 현실에 맞는 방안이지만 현재 CBP 체제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따른다.

온기운 숭실대 교수는 “CBP 제도 아래에서는 석탄이 기저발전 지위를 계속 유지할 수밖에 없다”면서 “온실가스 감축 등 현안을 감안하면 LNG가 기저발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격 결정 방식이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자료:전력거래소

자료:전력거래소 * 기저발전기 입찰량 : (2015. 4.) 283.2억kWh → (2016. 4.) 294.1억kWh (3.8%)





자료:전력거래소

[바닥기는 전력기준가격, 전력시장 `골병`]경영난 민간발전업계, 시장 제도 개선 목소리 높다

[바닥기는 전력기준가격, 전력시장 `골병`]경영난 민간발전업계, 시장 제도 개선 목소리 높다

[바닥기는 전력기준가격, 전력시장 `골병`]경영난 민간발전업계, 시장 제도 개선 목소리 높다


최호 전기전력 전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