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생명공학의 글로벌 경쟁력과 성장동력은 의사과학자(MD Scientist) 연구역량에 달렸습니다. 의생명공학 분야의 일관성 있는 국가정책과 사회적 관용이 뒷받침된다면 노벨상 수상도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닐 것입니다.”
박래길 GIST(광주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교수는 현직 의사면허를 보유한 베테랑 의생명분야 과학자다.
20여년간 항암치료제 부작용으로 알려진 청각세포 손상에 관한 작용기전 연구에 몰두해 왔다.
`월화수목금금금`을 반복하면서 면역학, 항체, 신호전달 연구를 지속했다. 세계 최초로 세포 대사기능에 중요한 페록시좀(peroxisome) 생합성 장애가 감각신경성난청(sensory neural hearing loss) 원인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내놔 국내외 학계와 의료계 관심을 끌었다.
한국연구재단도 박 교수에게 러브콜을 보냈다. 한국연구재단 의약학단장을 역임한 박 교수는 의학, 임상학, 약리학 등 보건의료 분야 연구동향조사와 과제관리, 사업기획 평가, 연구지원정보, 성과관리 등 총괄 조정업무를 수행했다.
박 교수는 “미토콘드리아와 함께 세포소기관 치료법의 주된 표적인자이며 세포 에너지대사와 지질체대사 조절자로서 작용하는 페록시좀 단백의 기능지도 연구를 수행 중” 이라며 “중점 연구 분야는 페록시좀 단백의 기능지도를 완성해 페록시좀 기능과 리피돔 연관 질환의 진단 및 제어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1956년 신장세포에서 처음 발견된 페록시좀은 아직까지도 많은 부분이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면서 “418개의 페록시좀 단백 기능을 규명해 세포소기관 중심의 대사질환 원인기전을 중점으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된 표적주제는 노화, 암 및 지질대사질환 실험모델에서 리피돔 역할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다.
박 교수는 GIST 의생명공학 강점을 융·복합 연구 역량에서 찾고 있다.
현재 의생명공학과 교수진 전공영역은 공학계열, 뇌신경의학계열, 기초의과학으로 구성됐다. 국내 최고 수준이다. 박 교수는 의생명 과학자의 기본 덕목을 인성과 따뜻한 성품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숭고한 연구 분야에 감성을 불어넣자는 취지다.
박 교수는 “단기 목표는 페록시좀 단백의 기능지도(functional map)를 완성해 페록시좀 기능과 리피돔(lipidom) 연관 질환의 진단 및 제어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아직 아시아 국가에는 존재하지 않는 대사질환진단센터(Metabolic Disease Diagnosis Center)를 설립, 국민건강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대사질환진단센터는 분석학, 효소학, 분자생물학 등 전문가 그룹이 참여해야만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서 “이 분야 연구진을 보유한 GIST가 대사질환진단센터를 설립하면 대사질환 환자의 건강행복권과 대사질환 관리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