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심각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물경기 회복은 더디고 가계대출은 큰 폭으로 늘고 있다. 가계부채는 저금리 영향으로 리스크가 과소평가 되고 있지만,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라는 분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올들어 지난 3월까지 우리나라의 총 가계부채는 1224조원 규모다. 지난해말에 비해 20조원 이상 늘었다. 지난달 기준금리는 1.25%로 낮아졌다. 사상 최저수준이다. 가계부채 증가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가계부채는 증가 속도도 그렇지만 부채비율이 매우 높아 문제다. 지난해말 국내총생산(GDP) 대비 88%를 넘어섰을 정도다.
가계부채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 회원국의 경제이슈 가운데 하나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 가계소득은 정체하는데 부채가 증가하고 있다”며 “향후 금리변동 시 위험에 노출되는 등 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가계부채의 질도 나빠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말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지난해보다 36조원이 늘었다. 비은행권 대출은 2.4배나 늘었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로 대출 수요가 2금융권으로 옮겨갔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금융권 대출금리도 덩달아 오른다. 2금융권은 1금융권보다 대출이자율이 높아서 금리가 인상되면 저소득층과 영세 자영업자, 저신용자는 치명적이다.
가계부채가 늘어나면 경제적 파급효과가 커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에 큰 변수가 된다. 적절한 규모의 가계부채는 경제활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지만 과도하면 소비·저축 위축, 자산가격 하락 등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지금 시장은 가계부채 증가에 경고등을 보내고 있다. 가계부채의 디레버리징(부채 조정 및 상환)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디레버리징이 진행되면 소비가 둔화되고 부동산 가격 하락은 불가피한 것이 현실이다.
정부는 크게 늘어난 2금융권 대출과 디레버리징 연착륙 대책을 준비해야 한다. 기준금리 인하가 가계부채 증가로 이어지게 해선 안된다. 정부가 방심하면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의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