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가 지난해 초 진행한 상업시설 통합매출 정보서비스 사업이 골칫거리로 전락했다. 당초 계획과 전혀 다르게 진행되고 있어 애꿎은 피해자만 생기는 등 전면 재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당시 인천공항은 1차 입찰공고에서 리베이트를 가장 많이 주는 업체를 선정하겠다고 공고를 냈다. 내용이 문제가 되자 리베이트 대신 가맹점 장비 지원과 개발비로 바꿔 2차 입찰을 한 것이다. 하지만 사업자가 선정된 후 공항 내 가맹점 상당수는 장비 지원은커녕 외산을 유료로 구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입찰 내용도 문제지만 여신전문업법(여전법) 위반 여지도 있다는 것이다. 여전법 위반을 알고도 입찰을 강행한 것이라면 특정 업체 ``밀어주기`가 의심되는 상황이다.
입찰 전에 모든 밴(VAN)사는 공항 내 가맹점과 자유롭게 계약하고 서비스해 왔다. 그런데도 굳이 이런 입찰 강행은 특별한 의도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갑질과 유착 의혹을 떠올리기에 충분하다.
우리나라는 정부 부처, 기관 등이 우월한 지위를 이용한 갑질과 유착으로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공인(公人)에 요구되는 반부패와 청렴성이 땅에 떨어진 형국이다. 특별한 예를 들지 않더라도 사회에 만연돼 있는 부패는 잊을 만하면 고개를 드는 것이 현실이다.
반부패와 청렴성은 정부 부처 공무원이나 국회의원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 요구되는 항목이다. 지위를 이용해 부패 행위를 일삼지 말란 얘기다. 교사, 언론인, 대기업, 발주처 등도 마찬가지다. 오죽했으면 갖가지 부작용의 우려에도 깨끗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김영란법`을 도입했겠는가.
인허가와 규제, 발주 등 우월한 지위에 있는 기관들은 항시 `부패`에 노출돼 있다. 그만큼 불공정 행위나 전횡과 거리를 두는 노력이 필요하다.
인천공항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는 예전만 못한 것이 현실이다. 외국인 환승객 밀입국 사건, 폭발물 신고 접수, 낙하산 인사 등 잇따른 논란이 원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공항이 아직도 과거의 타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니 안타까운 일이다. 이래서야 `세계 최고 공항`의 명성을 이어 갈 수 있을지 의구심이 생긴다.
갑질, 유착 등 불공정 행위는 놔두면 사회의 독버섯이 된다. 인천공항에 대한 의혹은 명백하게 가려져야 할 것이다. 의혹이 사실로 판명된다면 관련 당사자는 일벌백계가 옳다. 보완책이 절실하다. 임시방편으론 독버섯을 완전히 없애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