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선진국 3대 키워드는...대중교통·컨트롤타워·협력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과 제도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선진국 정책에는 공통점이 있다.

강력한 컨트롤타워 아래 대중교통을 활용해 시범서비스를 서두른다. 자동차와 연관 업계간 협업도 늘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자율주행자동차 전문가들은 해외 선진국의 정책과 한국의 현황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찾아야 한다며 이같이 조언하고 있다.

선진국의 가장 큰 공통점은 자율주행 관련 장기적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할 컨트롤타워가 명확하다는 점이다.

지난 31일 자율주행자동차 정책연구회 세미나에서 선우명호 의장(왼쪽에서 세번째)이 발언하고 있는 모습
지난 31일 자율주행자동차 정책연구회 세미나에서 선우명호 의장(왼쪽에서 세번째)이 발언하고 있는 모습

미국은 ITS JPO(Joint Program Office), 유럽은 EC(European Collaboration on Road Automation), 일본은 CSTI(Council for Science, Technology & Innovation)가 별도로 설립돼 자율주행 정책과 세부 실행계획을 주도하고 있다.

미국 ITS JPO는 자율주행차 표준 개발 및 표준 적용 절차를 마련하고 유럽·일본과 협력체계를 지속하는 한편 자율주행차 핵심 기술 연구개발(R&D)을 지원한다. 2023년 현장 적용까지의 로드맵이 나온 상태다. 미국 교통부 지원 아래 스마트시티까지 선정했다.

유럽에서는 EC를 출범하고 자동차산업과 NGO 대표, 정책 결정자 등으로 구성된 `기어 2030`을 올 초 발족했다. 자율주행에 대한 규정과 정책 사항을 포함해 로드맵을 작성하고 단기적으로는 기술 개발도 제안할 예정이다.

일본 CSTI는 다부처 협력 체계를 유지하면서 강력한 예산 지원과 정책 결정 권한을 갖는다. 이들은 이미 고속도로 레벨 3를 적용할 수 있는 로드맵을 지난 2014년 수립했다.

한국교통연구원 김규옥 센터장은 “선진국의 정책을 비교해보면 공통적으로 미국 JPO 같은 컨트롤타워가 힘을 발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규옥 한국교통연구원 센터장이 선진국 정책에 대해 소개하는 모습
김규옥 한국교통연구원 센터장이 선진국 정책에 대해 소개하는 모습

대중교통을 이용한 시범서비스도 주목할 만하다. 정해진 길을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개별 운전자들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데이터 축적이 쉽다. 승용차를 중심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정책 개선 등을 위한 시범서비스에는 셔틀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이 활용된다. 미국은 콜럼버스에서 12인승 자율주행 셔틀버스를 2019년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스위스와 그리스에서는 저속 셔틀버스를 자율주행 기반으로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산업간 협력도 중요한 키워드다. 일본은 자동차 업체 뿐만 아니라 반도체·부품 업계까지 함께 협력체계를 꾸렸다. 지난 6월에는 자율주행용 정밀 지도 제작을 위한 `다이나믹 맵 플래닝 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미쓰비시전기·젠린(Zenrin)과 같은 디지털 맵 회사와 토요타·스즈끼 등의 자동차 회사까지 참여했다. 유럽의 기어2030 프로젝트도 각 계 입장을 담기 위해 NGO까지 참여시켰다.

문보경 자동차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