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진 선정에 12년, 최종 처분장 건설까지 36년이 소요될 것으로 잡은 우리나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사용후핵연료) 처리 계획이 국제 기준에 부합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6 세계 원자력 및 방사선엑스포` 콘퍼런스 참석차 한국을 찾은 누리아 마르코스 핀란드 S&R(Saanio & Riekkola) 박사는 22일 본지와 인터뷰에서 “사용후핵연료 처분장 작업은 장기간 진행해야 하는 일”이라며 “과학과 사회적 측면에서 되도록 많은 의견을 담고 갈등 요인 없이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핀란드는 우리나라가 이제 막 시작하려는 사용후핵연료 처분장을 만들어 운영 중인 국가다. 40여년에 걸친 사용후핵연료 처분장 관련 부지 선정과 건설 인허가 작업을 먼저 경험했다. 지난해 공식적으로 처분장 건설 인허가를 받았고 내년부터 최종 처분장 건설에 들어간다. S&R는 이런 작업을 실무적으로 이끌고 있는 공적 기관이다. 우리로선 충분히 벤치마킹할 만한 대상이기도 하다.
마르코스 박사는 핀란드 사용후핵연료 최종 처분장 현장 안정성 평가를 담당한다. 세계 사용후핵연료 분야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전문가로도 인정받고 있다.
마르코스 박사는 핀란드의 사례를 들며 최종 처분장 마련에 조바심을 내지 말라고 조언했다. 우리 정부가 12년으로 설정한 부지선정 기간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충분히 수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봤다. 핀란드 부지선정 단계에서 일부 후보지 지역에서 반대를 경험, 해당 지역을 제외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최종 부지로 선정된 온칼로 역시 주민의견을 수용한 결과다.
우리 정부의 최대 고민인 소통과 설득에 대해선 정부와 국민 간 신뢰감을 먼저 쌓을 것을 권유했다. 그는 “2001년 부지 선정 이후 처분장 계획 정보를 일반 대중들과 공식적으로 공유해 왔다”며 “지역 주민들과 국민들이 원하는 모든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면서 정부와 건설 기관에 대한 신뢰가 높다”고 말했다.
법·제도를 통해 사용후핵연료 안전장치 마련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20년 동안 핵연료 수조 냉각, 처분장 균열 회피 등 안전에 필수적 요인들은 법·제도상으로 확실히 명시해야 한다는 견해다.
핵연료 방사선 누출에 우려에 대해서는 공포감을 덜라는 얘기를 했다. “핵연료의 저장 용기와 처분장의 인공방벽과 자연방벽 등 하나의 방어막이 훼손돼도 그 다음 또 그 다음 차단방벽이 있고 이를 거치면서 방사선의 유해성은 현저히 떨어진다며”며 “제대로 관리된 핵연료는 더 이상 위험물질이 아닌 만큼 무조건 공포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
변상근 기자기사 더보기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