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월 덴마크 고등교육과학부 장관 주최로 제3차 연구·혁신 연례회의가 덴마크 콜딩 (Kolding)시에서 개최됐다. 회의에는 덴마크 정부, 대학, 기업, 재단, 연구기관, 해외 유관 기업과 기관이 참가, 지식기반사회가 되기 위한 과제를 논의했다. 연구·개발(R&D)이 공공과 민간 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증대시키는 게 목표였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덴마크는 미래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는 지식기반사회를 지향한다. 연례회의가 알려주듯 덴마크 정부는 교육·연구·민간 부문 시너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덴마크 정부의 과학기술 R&D 증가와 연구결과 상용화 추진 사업은 2000년대 들어 강화됐다. 정부는 대학들과 공공 연구기관 체제를 개편해 대다수 연구기관이 대학 산하로 편입됐다. 이는 결과적으로 대학 연구 역량과 경쟁력 향상, 연구기반의 고등교육 환경 조성에 기여했다. 뿐만 아니라 특허법도 개정돼 특허 소유권을 연구원 개인이 아닌 대학이 갖게 했다. 대학은 특허받은 연구·기술을 상업화하고 창업으로 잇는다. 이에 따라 대학이 소유한 특허 수와 특허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이 대학 평가 항목에 추가됐다.
정부는 벤처 사업 증가와 활성화를 위해 변화를 주도하기도 했다. `이노베이션 인큐베이터(innovation incubator)`가 대표적이다. 연구나 첨단기술에 기반한 스타트업이 정부에게서 초기자본을 투자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 친화적인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민간 부문 규제도 대거 완화됐다. 간단히 등록만 하면 당일부터 기업 활동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정책은 대체로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덴마크가 글로벌기업가정신지수(GEDI) 유럽 1위와 세계 4위, 2015년 포브스 선정 `세계에서 사업하기 좋은 국가` 1위가 될 수 있던 것도 이 덕분이다.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정부의 노력은 혁신 유도 지원 사업으로도 구현됐다. 연구-민간-공공 부문의 삼중 나선형 협력(Triple Helix) 증대를 위해 `이노베이션 네트워크 클러스터(Innovation Network Clusters)`를 다수 설립했다. 이를 통해 △연구 부문 자금, 인력 부족, 연구 수요를 기업과 협업으로 충족 △민간 부문 공공 연구기관에서 생성된 지식정보와 첨단기술 활용 증가 △공공 부문 산학협력을 통한 국가사업 지원 등을 활성화했다.
이후 국가적 혁신 역량이 커짐에 따라 2012년 정부는 공공투자에 의한 R&D·혁신·교육 부문 국가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또한 덴마크 정부는 국제 협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2006년 이노베이션센터 덴마크(ICDK)를 설립했다. 현재 서울을 비롯해 실리콘 밸리, 뉴델리, 상해, 뮌헨, 상파울루, 텔아비브와 같은 세계 `혁신 핫 스폿(hot spot)`에서 운영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 가까워지기 위한 그간의 노력은 성공적이었다.
현재 덴마크는 OECD 국가 중 공공 R&D 투자 규모 4위이자 민간 R&D 투자 규모 7위다. 이외에도 국제경영개발원(IMD)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경제 6위로 선정됐다. 또한 경제효과와 인적자원, 창업, 공공-민간 합동 연구 등 다양한 항목에서 유럽연합(EU) 평균보다 20% 이상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덴마크는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고령화 시대에 복지제도의 재정적 부담은 점점 커져만 간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덴마크식` 지식사회는 외부로부터 영감을 받고, 과감히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극복해왔다. 한국 또한 현재 `창조경제`를 지향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물색하고 있다.
양국이 함께 역량을 모아 협력할 때 미래를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발하리라 생각한다. 앞으로는 연구와 혁신 파트너십을 강화해 서로 더 많은 영감의 원천이 되고 두 나라가 무궁한 잠재력을 분출시키길 기대해본다.
토마스 리만 주한 덴마크 대사 tholeh@um.d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