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국 공유, 700㎒ 전파간섭 해결사 `부상`

여러 통신망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유하는 `기지국 공유(RAN Sharing)`가 700㎒ 통합공공망 전파간섭 해결사로 떠올랐다.

간섭 방지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에도 효과적으로, 전국망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안전처와 미래창조과학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가 700㎒ 전파간섭 방지를 논의, 향후 설치되는 각 통신망 설계(셀 플래닝)부터 기지국을 공유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확인됐다.

가령, 재난망과 철도망이 동시에 서비스되는 A지역에는 기지국을 하나만 설치해 2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기지국 공유는 국제 표준화가 돼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다. 공유 기능을 넣은 기지국은 사업자 식별번호(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를 통해 송수신 전파를 구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사 망을 공유하는 알뜰폰(MVNO)도 기지국 공유 기술을 사용한다.

통신망을 별도로 설치할 경우 발생하는 전파간섭 우려 해소가 가능하다. 전국 5000㎞ 이상 설치되는 LTE-R, 해안에 설치되는 LTE-M과 기지국을 공유하면 재난망 설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심진홍 재난망 구축기획단장은 “700㎒에서 재난망과 철도망, 해상망이 같은 주파수를 써야 하기 때문에 간섭을 최대한 없애기 위해 기지국 공유를 현실적 대안으로 보고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여러 통신망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유하는 `기지국 공유(RAN Sharing)`가 700㎒ 통합공공망의 전파간섭 해결사로 떠올랐다. 간섭 방지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에도 효과적이어서 전국망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여러 통신망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유하는 `기지국 공유(RAN Sharing)`가 700㎒ 통합공공망의 전파간섭 해결사로 떠올랐다. 간섭 방지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에도 효과적이어서 전국망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원활한 기지국 공유를 위해서는 용량(리소스) 할당 이슈를 해결해야 한다. 재난이 발생해 트래픽이 몰리는 상황에서는 철도나 해상망 사용으로 인해 통화 연결이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도 반드시 통화가 돼야 하는 신호를 정하고, 다른 신호는 나머지 용량을 나눠쓰는 등 협의가 필요하다.

재난망 포럼 관계자는 “재난망과 철도망, 해상망에서 리소스 할당을 위한 세부적인 협의가 필요하다”며 “이 이슈만 해결한다면 기지국 공유는 간섭을 막고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 방법”이라고 말했다.

앞서 안전처 등 4개 부처는 지난 4월부터 700㎒ 전파간섭 방지를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700㎒에서는 20㎒ 폭에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재난망), 철도통합망(LTE-R), 해양망(LTE-M) 등 통합공공망이 서비스돼 간섭 우려가 제기됐다.

국민안전처가 밝힌 700MHz 기지국 공유 방안
국민안전처가 밝힌 700MHz 기지국 공유 방안

한편, 통합공공망 내 간섭 이슈가 해결되더라도 700㎒ 대역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과 간섭 우려가 남는다. 지상파 UHD 방송은 출력이 크기 때문에 공공망, 통신망과 간섭 우려가 제기된다.

미래부는 통신 솔루션 전문업체 와이솔을 통해 전파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 필터를 개발 중이다. 지상파 UHD 방송은 내년 2월 서비스 예정이라 조속한 간섭 테스트가 필요하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